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고갯길2

소통과 교유의 공간 무주의 고갯길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는 고갯길은 지역의 경계를 구분 짓는 의미를 갖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고갯길은 소통과 교유의 공간으로 그 지역 사람들에게 있어 삶의 애환이 깃들어 있습니다. 걸어서 넘던 고갯길은 이제 자동차로 넘나들지만 옛길이란 이름으로 고스란히 남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옛길을 걷는 마니아들이 늘어나면서 추억은 되살아 나고 있는 셈이지요. 산악지역인 무주에는 고갯길이 많습니다. 조금재, 빼재, 도마령, 무풍재, 압치 등. 4도가 접한 무주의 지역 특상상 타 지역과의 경계지역입니다. 고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도가 나뉘는 것이지요. 한 두 시간이면 전라북도에서 경상북도, 경상남도, 충청북도, 충청남도를 넘나들 수 있는 셈입니다. 무주리조트를 지나 만나는 토비스콘도 앞에서 좌회전하면 이 고개를.. 2009. 10. 9.
뼈를 묻은 고개, 백두대간 '빼재' 무주리조트에서 거창으로 넘어가는 37번 국도상의 고개가 빼재입니다. 덕유산(1,614m)과 삼봉산(1,254m)을 잇는 백두대간 상의 고개로 대간종주를 하는 산악인들에게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동업령을 지나 중봉-향적봉으로 이어지는 덕유산 산행코스로도 많이 이용되는 곳이고요. 빼재의 유래를 살펴보면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지역은 신라와 고구려, 백제가 접경을 이루고 있는 전략의 요충지로 수많은 민관군이 이곳에 뼈를 묻어야만 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왜구와 맞서 싸운 이곳의 토착민들이 산짐승들을 잡아 먹어가며 싸움에 임했고 그 산짐승들의 뼈가 이곳저곳 널리게 됐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해집니다. 즉, 뼈를 묻은 고개라하여 뼈재라 불리던 이곳이 경상도 방언으로 빼재가 되었다는 얘기입니.. 2009. 9.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