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을-오지

자긍심을 갖기에 충분한 괴산(槐山)의 지명유래

by 눌산 2008. 5. 23.
728x90




신라의 삼국통일 무렵
가잠성을 지키다 순사한 찬덕장군의 공을 기리기 위해
김춘추가 하사한 괴산의 옛이름인 괴주(槐州)가
이후 지금의 괴산(槐山)으로 불리게 된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 접경지대로서
백제와 신라 고구려 사이에 충돌이 잦았던 곳이다.
신라 진평왕(眞平王) 28년(606)에
신라장수 찬덕(讚德)이 가잠성을 지키고 있을 때
백제의 대군이 침입 백여 일을 포위 공격하여
성은 완전히 고립되는 바람 앞에 등불 같은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신라에서 여러 번 원군을 보냈으나
그 때마다 번번이 패하게 되고
성안은 식량과 물이 떨어지고 군사의 사기는 땅에 떨어졌다.

성주인 찬덕이 의롭게 싸우다 죽을 것을 역설하였으나
군사들은 항복하여 목숨을 보존하길 원하였다.
찬덕은 운명이 가까워 온 것을 깨닫고
"너희들은 내가 죽은 후에 항복하라.
나는 죽어 귀신이 되어 백제 놈들을 잡아갈 것이다."라고 외친 뒤
앞의 느티나무에 머리를 들이받고 장렬하게 죽었다.
후에 이 소문을 들은 김춘추(金春秋)는
찬덕장군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해서
가잠성을 '괴주(槐州)'라 부르게 하였다.
이것이 지금의 괴산(槐山)이라 부른 유래라고 전해진다.

괴산(槐山).
언뜻 듣기에는 괴이한 산이 많은 곳이라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회화나무 괴(槐), 즉 느티나무를 지칭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최고 행정기관인 의정부를 지칭하는 괴부(槐府),
왕궁을 뜻하는 괴신(槐晨),
외교문서를 관장하던 승정원을 괴원(槐阮)이라 부른 것 등을 보면
'槐'자는 아무렇게나 쓰여지는 글자가 아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어느 분야 혹은 인물이나 지명 등
으뜸이 되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괴산에는 유독 오래된 느티나무가 많다.
마을 입구를 지키는 당산나무가 대부분 느티나무로
괴산의 상징이자 자존심이 되고도 남음이 있어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ilm scan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