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화동1 비슷한 사연을 간직한 '쉰패랭이골' 이야기 벗어두고 들어간 패랭이의 숫자로 몇사람이 죽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었다. 남겨진 패랭이의 숫자는 그 골짜기의 이름으로 남겨져 전해온다. 비슷한 사연을 간직한 강원도 영월의 '쉰패랭이골'과 경상북도 봉화의 '쉰패랭이골', 강원도 양양의 '아흔아홉구댕이' 이야기다. [강원도 영월군 남면 조전리(助田里) 쉰패랭이골] 강원도 영월군 남면 조전리의 쉰패랭이골. 어렵고 힘든 시절 恨이 서린 골짜기다. 패랭이는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 만든 신분이 낮은 민초들이 썼던 갓의 일종으로 남겨진 패랭이의 숫자가 그 골의 지명이 된 경우. 충청북도와 강원도 경계지점에 위치한 조전리(助田里)는 이레동안 소를 갈아야 할 정도로 긴 밭이 있었다하여 진밭(긴밭)으로 불리다 언제인가부터 조전(助田)으로 바뀐 지명으로 상촌(上村)과 하촌(下.. 2008. 7. 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