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붉은 치마 입은 적상산 무주 적상산(赤裳山)이 '붉은치마산'이 된 것은 가을 단풍 때문입니다. 가을빛에 물든 산자락이 여인의 '붉은 치마'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죠. 또는 적상산성이 있어 산성산, 상성산이라고도 불립니다. 또 다른 얘기도 있습니다. 해질녘 붉게 물든 병풍처럼 둘러쳐진 절벽을 보고 '赤裳'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저는 두 번째 설에 더 공감이 갑니다. 초록이 물든 여름은 그 느낌이 덜하지만 가을이나 앙상한 나뭇가지만 남은 겨울에는 절벽이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붉은절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영락없는 '붉은치마'를 두룬 모습이죠. 오후 햇살에 붉게 물든 적상산을 담았습니다. '붉은치마'를 닮았나요? 오후 햇살에 붉게 물든 적상산입니다. 붉은치마를 닮았나요? 가을빛이 물들면 색감은 더 진합니다. .. 2009. 9. 14.
붉은바다 30년 만에 만난 국민학교 동창생 같은 신사복 바지 입은 눌산 같은 바다는 언제나 어색하다. 2009. 9. 14.
구기자나무꽃 구기자나무는 울타리를 대신해서 대문 주위에 주로 심는다. 열매와 껍질은 약용으로 어린순은 식용으로도 쓰인다. 여러모로 좋단다. 당뇨병, 고혈압, 치통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한데. 빨갛게 익은 구기자 열매만 보았지 구기자나무에 꽃이 핀 모습은 처음보았다. 아니. 관심이 없어 보지 못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미안타. 경상북도 봉화에 전기없는 오지마을이 있다. 대한민국 땅에 그런 곳이 있을까 싶지만, 분명 있다. 웃기지도 않는 얘기지만 분명 있다.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이 시대에, 그곳에는 전화도 없다. 대신 산꼭대기에 자리하고 있어 핸드폰은 터진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어둠이 내리면 촛불을 밝히고 작은 밥상에 둘러 앉아 저녁식사를 한다. 손님이 오거나 하면 가스등을 내건다. 어둠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 2009. 9. 10.
성하의 계절에 만난 마이산, 그리고 탑사 전라북도 진안 마이산은 [언제나 봄날]에서 엎어지면 코 닿을데입니다. 3-40분이면 마이산 북부주차장에 도착하지요. 멋진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지만 자주 못갑니다. 전주 나가는 길에 잠시 들르는 정도. 거대한 바위 덩어리로 보이지만 성하의 계절에 만난 마이산은 생동감이 넘쳐흘렀습니다. 사이사이 나무숲은 살아 있는 자연의 신비 그 자체지요. 마이산 북부주차장에서 암수마이봉 사이를 지나 은수사와 탑사를 다녀오는데는 약 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앞만보고 걷는다면 그렇지요. 쉬엄쉬엄 걷는다면 두 시간 정도이고요. 여행에서 걷기는 숨쉬기와 같습니다. 가볍게 걷는 것은 노곤한 여행길에 꼭 필요합니다. 한 두시간 걷고 나면 한여름 청량음료 처럼 상쾌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2009. 8. 26.
[최상석의 우리땅 속살여행]<8>섬진강 도보여행 하루나 이틀 걷기 좋은 섬진강 도보여행 / 구례구역에서 곡성기차마을까지 도보여행은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유별난(?) 몇몇 사람들의 전유물이었다. 걷기에 이골이 난 선수들이나 ‘나와의 싸움’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땅끝에서 통일전망대까지 국토종단을 하는 젊은이들이 이따금 눈에 띌 뿐이었다. 하지만 근래 들어서는 걷기 열풍이라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도보여행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파란하늘과 코스모스 하루나 이틀 걷기 좋은 섬진강 강 건너 길 도보여행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코스 중 하나가 섬진강이다. 4박 5일에서 길게는 일주일 정도, 대학생들이 방학이나 직장인들이 여름휴가를 이용해 많이 찾는다. 하지만 짧지 않은 시간을 길에서 보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잠자리와 단련되지 않은 육체는 낯선.. 2009. 8. 25.
순간포착! 헬기를 삼킨 태양. 일출 촬영 셋팅 후 기다립니다. 붉게 물든 바다 저 너머 수평선 뒤로 아침해가 솟아 오릅니다. 순간, 요란한 굉음울 내며 두~두~두~두~ 소리가 나더니 헬기가 지나갑니다. 파인더 속에서 만난 헬기는 거대한 공룡이었습니다. 아침바다에는 다시 고요가 흐릅니다. 2009. 8.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