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에 피는 야생화 4종 (너도바람꽃, 복수초, 노루귀, 얼레지)
숲에서 만난 봄의 전령…. 이른 봄 가장 먼저 피는 너도바람꽃, 복수초, 노루귀, 얼레지 남쪽에서 꽃소식이 연일 들려온다. 매화, 산수유, 심지어 벚꽃 소식까지…. 하지만 무주의 봄은 아직 이르다. 섬진강에 벚꽃이 흩날릴 즈음에서야 무주에서는 매화가 피고 산수유꽃이 핀다. 긴 겨울 끝에 만난 봄 날씨 때문인가? 봄의 전령을 기다리는 심정이 더욱 간절하다. 오래전, “봄은 숲으로 먼저 찾아온다”라고 했던 강원도 두메산골에서 만난 심마니의 말이 떠올랐다.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도 지났으니, 야생화의 보고(寶庫)인 적상산으로 향했다. 야생화의 보고, 적상산 우리나라의 들과 산에서 나는, 먹을 수 있는 나물이 무려 300종이 넘는다고 한다. 흔히 우리가 잡초라고 불리는 것들도 이른 봄에 나는 새순은 ..
2023. 3. 13.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무주의 지질명소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무주의 지질명소. 용추폭포, 외구천동지구,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적상산 천일폭포, 금강벼룻길... 무주는 산악지역답게 바위산이 많다. 덕유산 향적봉이 그렇고, 붉은 치마산이라 부르는 적상산이 그렇다. 그뿐인가, 남대천 상류로 올라가면 집채만 한 바위가 계곡을 뒤덮고 있다. 이런 지형적인 특성은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이 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가지질공원과 지오트레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무주의 지질명소는 모두 다섯 곳이다. 용추폭포, 외구천동지구(나제통문, 수심대, 파회),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적상산 천일폭포, 금강벼룻길로 진안의 마이산, 구봉산, 천반산, 운일암반일암, 운교리 삼각주 퇴적층의 다섯 곳과 함께 지난 2019년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23.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