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보기2254

3월의 야생화, 노루귀 꽃이 먼저 피었다가 지고 난 후 잎이 나오는데, 그 잎모양이 노루의 귀를 닮았다. 2023. 3. 13.
3월에 피는 야생화 4종 (너도바람꽃, 복수초, 노루귀, 얼레지) 숲에서 만난 봄의 전령…. 이른 봄 가장 먼저 피는 너도바람꽃, 복수초, 노루귀, 얼레지 남쪽에서 꽃소식이 연일 들려온다. 매화, 산수유, 심지어 벚꽃 소식까지…. 하지만 무주의 봄은 아직 이르다. 섬진강에 벚꽃이 흩날릴 즈음에서야 무주에서는 매화가 피고 산수유꽃이 핀다. 긴 겨울 끝에 만난 봄 날씨 때문인가? 봄의 전령을 기다리는 심정이 더욱 간절하다. 오래전, “봄은 숲으로 먼저 찾아온다”라고 했던 강원도 두메산골에서 만난 심마니의 말이 떠올랐다.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도 지났으니, 야생화의 보고(寶庫)인 적상산으로 향했다. 야생화의 보고, 적상산 우리나라의 들과 산에서 나는, 먹을 수 있는 나물이 무려 300종이 넘는다고 한다. 흔히 우리가 잡초라고 불리는 것들도 이른 봄에 나는 새순은 .. 2023. 3. 13.
(무주 옛길) 마실 가고 학교 가던 옛길 ‘금강맘새김길’ 마실 가고 학교 가던 옛길 ‘금강맘새김길’을 지나 한 해 끝과 시작을 향로산에서.... 이즈음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사자성어가 있다. 다름 아닌, ‘다사다난(多事多難)’이라는 말이다. 말 그대로 ‘일도 많았고 탈도 많았던’ 한 해의 끝자락에 서서 올 일 년을 되돌아보니 그래도 나름 ‘잘 살았다’라고 할 수 있겠으나 그래도 마음 한구석이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연말이 가까워지면 사람들은 아쉽고 허허로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 혹은 새로 맞이할 새해의 각오를 세우기 위해 산으로 바다로 향한다. 해가 지고 뜨는 것을 바라보며 묵은해를 훌훌 털어버리고 새로운 날을 맞이하기 위해서다. 무주읍 주민들이 매년 새해맞이 행사를 하는 향로산에 올랐다. 향로산 전망대는 일출과 일몰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무주에서 몇 안.. 2023. 3. 13.
엘사와 안나도 부럽지 않은 겨울왕국, 초리꽁꽁놀이축제로 GO~ GO~ 엘사와 안나도 부럽지 않은 겨울왕국, 초리꽁꽁놀이축제로 GO~ GO~ 어릴 적 기자는 강마을에서 자랐다. 여름이면 원 없이 물놀이를 했고, 겨울이면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얼음 썰매를 타면서 놀았다. 덕분에 한겨울에도 옷이 마를 날이 없었다. 추위가 매서운 날이면 젖은 옷은 얼어붙어 바삭거렸지만, 아랑곳하지 않았다. 해 질 무렵 집으로 돌아가면 어머니는 아이의 젖은 옷을 벗겨 아궁이 앞에 내 걸었다. 추위에 떨면서도, 야단을 맞으면서도 얼음 썰매 타기만큼 한겨울 최고의 놀이는 없었다. 요즘 아이들도 이런 재미를 알까? 추억의 얼음 썰매 등 즐길 거리 풍성 ‘2023년 초리꽁꽁놀이축제’가 시작됐다. 박종빈 마을 사무장은 “개막 다음 날인 일요일에 700명이 방문했다. 줄을 서야 할 만큼 많은 인원이 몰려 .. 2023. 3. 13.
야생화의 여왕, 얼레지 감히, 야생화의 여왕이라 불러도 손색이 자태다. 꽃말은 '바람난 여인'. 2023. 3. 13.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무주의 지질명소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무주의 지질명소. 용추폭포, 외구천동지구,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적상산 천일폭포, 금강벼룻길... 무주는 산악지역답게 바위산이 많다. 덕유산 향적봉이 그렇고, 붉은 치마산이라 부르는 적상산이 그렇다. 그뿐인가, 남대천 상류로 올라가면 집채만 한 바위가 계곡을 뒤덮고 있다. 이런 지형적인 특성은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이 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가지질공원과 지오트레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무주의 지질명소는 모두 다섯 곳이다. 용추폭포, 외구천동지구(나제통문, 수심대, 파회),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적상산 천일폭포, 금강벼룻길로 진안의 마이산, 구봉산, 천반산, 운일암반일암, 운교리 삼각주 퇴적층의 다섯 곳과 함께 지난 2019년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23. 3. 13.
늦가을 부남, 금강 변 억새와 갈대밭에서 허허로운 마을을 달래다 늦가을 부남, 금강 변 억새와 갈대밭에서 허허로운 마을을 달래다 이꽃 저꽃 다 떠났다. 그 화려했던 단풍도 된서리 한방에 스러졌다. 수확이 끝난 휑한 들녘의 모습까지 더해지니 눈에 보이는 풍경이 죄다 쓸쓸하기만 하다. 더구나 연말이 다가올수록 호기롭게 시작했던 연초의 다짐과 희망까지 온데간데없어졌으니 그저 허허로울 뿐이다. 이럴 때일수록 자연이 큰 힘이 된다. 지금, 부남 강변은 억새와 갈대가 한창이다. 늦가을, 허허로운 마음을 달래러 부남으로 간다. 은빛, 황금빛... 풍경 속으로 부남은 금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여섯 개나 건너야만 갈 수 있는 오지다. 지난주(11월 15일)에 대티마을을 우회하는 도로가 새로 뚫리긴 했어도 시간만 좀 단축됐을뿐 건너야 하는 다리의 수는 매한가지다. 무주에서 태어나 40.. 2023. 3. 13.
무르익은 가을 속으로! 비밀의 숲과 길에서 만난 만추(晩秋) 무르익은 가을 속으로! 비밀의 숲과 길에서 만난 만추(晩秋) 올가을 단풍은 몇 해 사이 가장 아름다웠다. 보는 눈이 다를 리 없다. 사람들은 너나없이 “올가을에는 단풍이 참 곱네”라는 반응이었다. 유난히 노랗고 붉었다. 군더더기 없이 맑고 깔끔했다. 산에는 짧은 가을을 아쉬워하는 등산객들로 가득했다. 한동안 뜸했던 적상산 등산로 입구 서창마을에도 관광버스가 연일 들락거렸다. 하 수상한 시절에도 단풍은 제 할 일을 다 했다. 무르익은 가을 풍경을 즐기기에는 신풍령이 제격이다. 무주군 무풍면과 거창군 고제면의 경계를 이루는 신풍령은 빼재라고도 부른다. 경사도 10%의 만만치 않은 고갯길 아래 터널이 뚫려 있지만 아직 옛길의 3분의 1 정도 구간은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옛길 입구에 들어서면 노랗게 물든 낙엽.. 2023. 3. 13.
‘인생사진’ 한 컷 남겨보자! 가을에 가면 딱 좋은 우리 동네 ‘사진맛집’ 이번 호 제목을 ‘사진맛집‘이라 정했습니다. ’사진맛집‘을 ’사진을 먹는 맛집’이라 읽었다면 당신은 ‘아재’입니다. 사전적 의미의 아재란 아저씨의 낮춤말이지만, 여기서 아재는 갬성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갬성은 또 뭔가요? ‘감성(感性)’이 변형된 말로 인스타갬성, 새벽갬성, 갬성캠핑 등 감동했거나 감정이 북받쳐 오를 때 재미있게 쓰고 있는 요즘 신조어입니다. ‘사진맛집’이란 한마디로 포토 스폿(photo spot)입니다. 사진 찍기 좋은 곳이라 할 수 있겠죠. 유행어 하나를 더 하겠습니다. ‘인생샷 하나 건졌다’고들 하죠. 인생샷이란 인생에 길이 남을 만큼 잘 나온 사진을 의미합니다. 또 SNS 프로필 사진용으로 올려도 좋을, 맘에 드는 사진을 찍었다는 얘깁니다. 스마트폰 하나면 언제 어디서든 .. 2023.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