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보기2254

무주 벚꽃길 4곳. 한풍루, 서면마을, 뒷작금, 상굴암마을 “꽃잎이 흩날리는~” 벚꽃길 함께 걸어요! 걷기 좋은 우리 동네 벚꽃길 4곳 ‘서면 소이나루 봄꽃맞이 행사' 4월 8일~9일, '설천 뒷작금 벚꽃축제'는 4월 7일~9일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 오늘은 우리 같이 걸어요 이 거리를 / (중략) / 봄바람 휘날리며 / 흩날리는 벚꽃 잎이 / 울려 퍼질 이 거리를 / 우우 둘이 걸어요” 벚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이면 여기저기에서 들려오는, 그룹 버스커 버스커의 ‘벚꽃 엔딩’ 가사 일부다. 노래 가사처럼 봄은 설레고 아름답다. 꽃과 나무가 가장 예쁘게 치장하고 봄을 맞이하듯이 사람들도 형형색색의 화사한 옷을 갈아입고 거리로 나선다. 벚꽃은 피면서 바람에 흩날린다. 꽃잎이 흩날리는 벚꽃길을 걷는 기분! 이 호사를 부릴 날도 이제 멀지 않았다. 무주.. 2023. 3. 27.
3월의 정원 초록 잎 하나만 봐도 좋은 3월은 꽃과 풀의 경계가 모호하다. 비가 그치고, 하룻밤 사이에 풀잎이 손바닥만 해졌다. 지켜보는 것도 오늘까지만이다. 2023. 3. 25.
살구꽃이 필 때면... 문득,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니, 살구꽃이 폈네. 2023. 3. 25.
무주 반디랜드, 무주 곤충박물관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곤충박물관 반디랜드 내에 있는 무주 곤충박물관은 반딧불이를 비롯해 전 세계 곤충 2,000종과 곤충화석, 열대 및 온대식물이 자라는 생태 온실, 90여 종의 물고기와 수달이 있는 수족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충주, 영월, 여주, 창녕, 원주, 예천 등지에도 곤충박물관은 있지만, 무주 곤충박물관은 가장 다양한 세계 곤충을 관찰할 수 있는 박물관으로 알려져 있다. 취재를 위해 찾은 날은 평일이었지만, 겨울방학을 맞아 전국에서 찾아온 많은 관람객들이 반디랜드의 다양한 시설을 관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많았다. 경남 창원시에서 3대가 함께 여행을 왔다는 강영희 씨는 “초등학교 1학년인 아이가 꼭 무주 곤충박물관을 가 봐야 한다.. 2023. 3. 25.
해남 달마산 달마고도 완주 달마고도는 미황사를 품은 빼어난 산세와 다도해의 절경이 어우러진 해남의 걷기 길이다. 미황사에서 시작해 달마산을 크게 한 바퀴 돌아 미황사로 되돌아오는 17.74km의 둘레길은 6시간 30분이 걸리는 짧지 않은 코스다. 달마고도 6개 인증지점(관음암터, 문수암터, 노지랑골, 도시랑골, 몰고리재, 너덜)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 QR코드로 인증하면 완주인증서와 기념품을 보내준다. 사진도 찍고 천천히 풍경을 즐기며 걸어서 7시간 10분 만에 완주했다. 2023. 3. 20.
새벽, 금강 사위는 아직 어둠이 짙었다. 일출 시각까지 아직 여유가 있다. 세상 모든 만물이 잠에서 깨어나기 전이다. 침잠(沈潛)의 시간이다. 힘차게 흐르던 여울물도 이 순간만은 ‘쉿!’, 고요히 흐른다. 여명의 순간은 길어야 30분 남짓. 저 멀리 적상산부터 시작된 여명이 금강을 향해 다가오고 있다. 아직은 여린 빛이 새벽의 푸른빛을 서서히 걷어내기 시작하더니 맞은편 산자락을 붉게 물들인다. 그리고는 아주 느리게 산의 낮은 곳을 향해 내려온다. 그 순간, 하늘이 벌겋게 달아오르더니, 찬란한 태양이 앞산 자락에 고개를 내밀었다. 물가에서 숨죽인 채 절정의 순간을 지켜보던 오리 떼들이 그때서야 날갯짓을 시작한다. “나 혼자가 아니었구나.” 2023. 3. 20.
느지막이 피는 '무주 산수유마을' 무주의 봄은 느리게 온다. 섬진강에서는 꽃 잔치가 한창이지만 덕유산에는 아직 잔설이 가득하다. 꽃이 피는 시기도 늦다. 남쪽에 벚꽃이 필 때쯤에 무주는 매화가 피고 산수유꽃이 핀다. 적상산이 한눈에 바라다보이는 ‘밀모 언덕’에 산수유꽃이 활짝 폈다. ‘빨강치마 리조트’가 있는 밀모 언덕에 오르면 맞은편 적상산의 파노라마가 코앞에 펼쳐진다. 2023. 3. 19.
복과 장수를 상징하는, 복수초 복수초는 언 땅을 비집고 눈을 녹여 꽃을 피운다 하여 얼음새꽃이라고도 부른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복수초(福壽草)’라는 이름에는 ‘복(福)’과 ‘장수(壽)’를 기대하는 사람들의 바람이 담겨 있다. 꽃말은 ‘영원한 행복’, '영원한 사랑', 슬픈 추억'이다. 눈 속에서 피는 연꽃이라 해서 설연화(雪蓮花), 얼음 사이에서 꽃이 핀다고 해서 ‘빙리화(氷里花)’ 등의 이름도 갖고 있다. 박완서 작가는 그의 에세이 ‘꽃 출석부2’에서 어느 날 아침 화단에 피어 있는 샛노랗게 빛나는 복수초를 보고 “순간 (중학생 아들의) 교복 단추가 떨어져 있는 줄 알았다”라고 했다. 이처럼 복수초는 빛을 받으면 황금빛으로 보이기도 한다. 2023. 3. 16.
잘 늙은 절, 화암사 “어지간한 지도에는 그 존재를 드러내고 밝히기를 꺼리는, 그래서 나 혼자 가끔씩 펼쳐보고 싶은, 작지만 소중한 책 같은 절이다. 십여 년 전쯤에 우연히 누군가 내게 귓속말로 알려 주었다. 화암사 한번 가보라고, 숨어 있는 절이라고, 가보면 틀림없이 반하게 될 것이라고” 안도현 시인의 ‘잘 늙은 절, 화암사’ 잘 알려진 관광명소지만 꼭꼭 숨은 절, 완주 9경 중에 제7경인 화암사는 시인의 표현처럼 작고 소박하지만, 특별함이 가득 채워진 절이다. 화암사로 오르는 불명산 숲길은 협곡 사이 실개천을 따라가는 운치 가득한 길이다. 철재로 만들어진 147계단을 올라서면 보물 제662호인 우화루가 보인다. 매화 향기 가득한 우화루 앞 의자에 앉아 바라보는 풍경이 화암사 1경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2023.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