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을-오지

'판담'과 '흙돌담'이 어우러진 하회마을 고샅

by 눌산 2010. 11. 18.
728x90










'고샅'은 어릴적 좋은 놀이터였습니다.
굴뚝에서 연기가 몽실몽실 피어오를 무렵이면 어머니의 "밥 먹어라"는 소리가 들려오고,  
아이들이 하나 둘 사라진 고샅에는 긴 고요가 찾아옵니다.

닭서리 공모를 하고,
대보름날이면 뉘집 정재를 쳐들어갈까 작당을 하던,
어릴적 고향의 그 고샅은 없습니다.
골목길은 자동차가 다닐 만큼 넓어 지고,
토담은 콘크리트 담장으로 바뀌었습니다.
다 추억이 되어버렸지요.

하회마을에 가면 그런 고샅이 있습니다.
딱 그 그림입니다.
어디선가 친구가 "상석아!"하며 달려와 등이라도 칠 것 같은 분위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늘은 높고, 바람은 보드라운, 가을입니다.
느린 걸음으로 한나절 걷기 좋은 하회마을 고샅 구경에 나섭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위적인 분위가는 나지만,
그래도 고맙습니다.
이 땅에도 아직 이런 고샅이 남아 있으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화유산해설사가 아이들에게 전통 '판담'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판담은 판담초가와 함께 하회마을에서 만날 수 있는 전통 담장입니다.

판담이란 긴 널판지로 약 50cm 너비의 틀을 만들어
진흙에 볕짚 등을 넣어 굳힌 후 그걸 연결해서 세운 담장입니다.
그래서 벽을 유심히 보면 연결한 선이 보입니다.
이런 형태로 집을 짓기도 합니다. 완벽한 흙집이 되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판담과 흙돌담입니다.
본래 하회마을의 담장은 판담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관리와 수명을 이유로 이런 흙돌담이 생기고 있습니다.
전통 방식에서 벗어난 것이지요.
그래도 뭐 콘크리트로 떡칠을 하고 흙색으로 흉내만 낸 담장에 비하면 양반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회마을에 가보신 분들은 여기가 어딘지 아실 겁니다.
소원지를 적어 걸어 놓은 당산나무 가는 길이죠.
안채가 보이는 문 너머엔 외부인의 시선에서 아녀자들을 보호 할 목적으로 작은 담장이 또 있는데
이런 경우를 '내외담'이라고 합니다.
가히 예술이죠?
담장 하나에도 이런 깊은 뜻이 숨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와집보다는 초가집에 눈이 갑니다.
"눌산 님은 허름한 집에서 살 팔자입니다. 그래야 더 잘 살 겁니다."
역학을 공부한 어느 지인이 하신 말씀입니다.
처음에 그 소리 듣고는 욕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허름한 오두막의 의미를 알고부터는 그 지인의 말이 가끔 떠오릅니다.
언젠가 제 꿈인 오두막에서 살게 되는 날 그 지인을 초대해 술판이라도 별여야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샅을 빠져 나오면 오두막이 있습니다.
눌산이 좋아하는, 눌산이 꿈꾸는 그런 오두막입니다.
저런 오두막에서 살 날이 있겠지요?
볕 좋은 날 툇마루에 앉아 손톱을 깎고 있는 눌산의 모습이 그려집니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