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을-오지

금강(錦江)이 내려다 보이는 오지마을

by 눌산 2008. 11. 21.
728x90








OO마을을 찾아가는 길은 감동의 연속이다. 길이 험해서 그렇고, 구비구비 흐르는 금강을 한 눈에 바라보며 걷는 길이 너무 예뻐서 그렇다. 무엇보다 첩첩 산중 한가운데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없을 것 같은 그런 곳에 턱하니 자리잡은 마을이 있어 그렇다. OO마을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다. 수십 수백 년 터 잡고 살아 온 마을이다. 한때 여덟 가구까지 살았다는 마을에는 딱 한 집에 한 명이 산다. 그것도 곱디 고운 할머니 한 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랫마을에서 만난 노인은 산너머에 마을이 있다고 했다. 4륜 구동이라면 갈 수 있겠지만 워낙 길이 험해 걸어서 가라고 일러 주었다. 강을 건너 산으로 오른다. 굽이가 심한 좁은 길은 차 한 대 겨우 지나 다닐 만한 폭이다. 고갯마루에 올라서자 길은 더 좁아진다. 절벽 아래로는 시퍼런 강물이 흐르고, 천길 낭떠러지가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개 하나만 넘으면 마을이 보일 것 같았다. 하지만 연이어 서너 개의 고개를 넘어야 했다. 고개 하나를 넘을 때 마다 묘한 기분이 든다. 약간의 두려움도 있지만, 그것은 또 다른 세상에 대한 기대와 흥분이다. 누가, 무슨 연우로 이런 깊은 산골까지 들어왔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낙엽이 쌓인 푸근한 길을 지나자 대나무 숲이 사람의 마을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대숲이 있다는 것은 사람이 산다는 뜻이다. 설령 민가가 없어도 옛날에는 사람이 살았다는 증거인 것이다. 낙엽송 숲 또한 마찬가지. 화전의 흔적들이라고 보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0분 쯤 걸었을까. 거짓말 처럼 마을이 들어 앉아 있다. 오후 2시를 조금 넘긴 이른 시간이지만 해는 이미 산을 넘어 갈 준비를 하고 있다. 마을 앞으로 빼꼼히 보이는 금강을 제외하고는 온통 산으로 둘러 쌓여 있다. 첩첩산중. 딱 이런 곳을 두고 하는 말일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목이 된 감나무와 밤나무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같은 풍경이라고 한다면. 평생을 이 산중에 살아 온 분에게는 실례가 되겠지만. 또 다른 표현을 할 수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까치들이 신이 났다. 이 감 저 감 한번씩 쪼아대며 감나무를 점령해 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을은 대부분 빈집이다. 떠난 자리의 흔적은 언제나 쓸쓸하다. 지금은 차가 다닐 만한 길이라도 있지만 그 길이 뚫린 것도 불과 몇해 전의 일이다. 그동안은 마을 뒷산 능산을 타고 옥천까지 걸어서 다녔다. 왕복 60리 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마을의 유일한 주민이자 주인인 김OO 할머니. 추운 날씨에 찾아오느라 고생했다며 숫가락으로 녹인 대접에 탄 커피를 내 놓으신다. "내는 대접에 탄 커피가 더 맛있다. 그래도 손님인데 이쁜 커피잔에 따라야지."  낯선 방문객에 놀라지나 않으셨는지. 주섬주섬 먹을거리를 내 놓으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이건 토종벌꿀이다. 아들 손주 줄려고 했다는 귀한 토종꿀. 한 입도 안 남기고 다 먹을 수 밖에 없었던 건 할머니의 성화때문이었다. 내 집에 온 손님 대접할 게 별로 없다시며 다 먹고 가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맹박이가 내 1년 후배 아이가." 할머니의 고향은 포항이다. 포항 동지상업고등학교 3회 졸업생으로 대대장까지 하셨단다. "내도 찢어지게 가난했지. 공부를 잘해서 난 주간을 나왔고, 대대장까지 했다 아이가" 여고시절 사진을 꺼내 보이시며 어제 일 처럼 지난 50여 년 전의 이야기를 풀어 내신다. 1년 후배에게 받은 선물이야기며, 장한어머니상을 받은 이야기까지. 밤을 새도 다 들을 수 없는 이야기들이다.

할머니의 연세는 올해 일흔 하나. 46년 전 이 마을 청년을 만나 결혼하셨다. "힐 신고 산넘어 이 까지 왔어. 사람 하나 믿고 온기지." 지금도 첩첩산중 오지인데 46년 전이야 말 할 것도 없을게다. 길이 있을리 만무했고, 전기도 없었다. 머리에 이고 지고 30리 길 옥천장을 오가며 나물장사를 했다. 그동안 써오신 일기를 모아 책을 한 권 내고 싶다고도 하셨다. "내가 살아 온게 소설이지." 소설보다 더 재밋을 소중한 할머니의 이야기를 기대해본다.

"명함 하나 주고 가라. 내 핸드폰 번호도 하나 적어 가고." 일반 전화는 수시로 불통이라 할머니를 핸드폰을 주로 사용하신다. 산이 높아 그런지 핸드폰은 빵빵하게 터진다. 또 찾아뵈도 되겠냐고 말씀드리고 싶었는데. 할머니는 미리 알고 산을 내려가는 내게 "또 올끼제?"하신다. 오늘따라 드릴만한 게 아무것도 없다. 죄송스러운 마음에 급히 산을 내려 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을 넘기 직전의 햇살에 빈 밭 고랑 곁에 선 낙엽송이 눈부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산을 오를 때 미처 보지 못했던 금강을 다시 본다. 할머니는 저 강이 원망 스럽지 않았을까. 도망가고 싶어도 길을 몰라 도망가지 못했다고 했다. 농으로 들리지 않는 건 그만큼 지난날의 삶이 고단해서 일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혼자 걷기엔 아까운 길이다. 언제나 그렇 듯, 수없이 산중마을을 여행했지만 산을 내려오는 길은 슬프다. 이 시간이 슬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을 거슬러 46년 전으로의 여행은 강을 다시 건너면서 끝이 났다.

오랜 습관 같은 고질병이 하나 있다. 비포장 길을 오래 달렸을때나 이렇게 산중에서 내려 섰을때 만나는 곱게 포장 된 반듯한 직선의 길에서는 멀미를 한다. 산중의 길은 속도제한이 필요없다. 굳이 천천히 가라고 하지 않아도 천천히 밖에 갈 수 없는 길이다. 삶 자체가 느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이 시대의 길은 급하다. 아니 급히 내쫒는 길이다. 천천히 달리면 왜 천천히 가냐고 윽박지른다. 아마도 난. 산에서 살 수 밖에 없는 팔자인다 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