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설'에 들어와 '보름'에 나간다는 오지마을 이야기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재밋는 우리 땅이름 이야기 촌로 한 분이 차를 세웁니다. 한적한 시골길을 달리다 보면 으레 만날 수 있는 장면이죠. 어디까지 가시냐니까 '설보름'가신 데요. 설보름....(행정상의 지명은 흥덕리) 마을 이름치곤 너무 예쁘지 않습니까? 직업은 못 속인다고 제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지나쳐 한참을 더 가야하지만 집 앞까지 모셔다 드렸습니다. 그리고 본전은 뽑아야지요...^^ 설보름의 유래와 마을 이야기, 그리고 보너스로 우두령과 국수봉의 전설까지 들을 수가 있었습니다. 호두나무 숲 한가운데 자리한 설보름마을 설보름마을의 행정상의 주소는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흥덕리로 황악산(1,111m)과 화주봉 사이 우두령 아래 분지를 이룬 해발 5-600m에 자리한 오지마을입니다. 마을 뒤.. 2008. 5. 14.
기차길 단상 역마을에서 초등학교를 다녔습니다. 덕분에. 기차소리는 친숙합니다. 매년 봄이면 기차를 타고 구례구역을 거쳐 쌍계사 벚꽃놀이를 갔습니다. 5월 단오날이면 남원 춘향제를 보러갔고. 엄마 손을 잡고 곡성장, 순천장을 보러 다녔습니다. 곡성중학교에 입학을 하고. 딱 한 달간이었지만 기차 통학도 했습니다. 기차길은 산으로 들로 강으로 나가는 지름길이기도 했고. 때론 놀이터가 되고, 학교를 오가는 길이기도 했습니다. 어스름한 저녁 무렵이면 개구쟁이들은 철로에서 만나 모종의 모의(?)를 하기도 했고. 그렇습니다. 수박이나 닭서리 같은 대형(?) 모의는 주로 기차길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따금 지나가는 기차소리는 쥐도 새도 모르게 거사를 진행하는데 제격이었으니까요. 그렇다고 그 모의가 성공한 적은 거의 없었습니다. 다음.. 2008. 5. 13.
앞산 뒷산에 빨래줄 걸고 사는 오지마을 아침가리 원시림 한가운데서 만난 우리 땅의 속살. 아침가리골 조선시대 예언서인 정감록(鄭鑑錄)에는 라 하여 일곱 군데의 피난지소를 기록하고 있는데, 난을 피하고 화를 면할 수 있는 곳이란 뜻으로, 전하는 말에는 피난굴이 있어 잠시 난을 피했다 정착했다는데서 유래된 곳들이다. 그러나 그러한 피난 굴은 찾을 수 없고 세 곳의 ‘삼(三)둔’과 네 곳의 ‘사(四)가리’만이 남아 있다. 아침가리골의 폐교 된 조경분교. 드라마 세트장을 연상케하는 목조건물이다. 삼둔은 강원도 홍천군 내면의 살둔 월둔 달둔이고, 사가리는 인제군 기린면의 아침가리, 명지가리, 연가리, 곁가리로 예로부터 인정하는 오지 속의 오지들이다. 이러한 피난지소들이 홍천군 내면과 인제군 기린면에 집중된 이유는 다름 아닌 지형지세에서 찾을 수가 있다. 방태산.. 2008. 5. 13.
구름 위의 산책과 하룻밤 어떠세요? 충청북도 단양 두산마을 '구름 위의 산책' 펜션 ‘구름 위의 산책’과 멀리 남한강이 내려다 보인다. 높이 높이 오르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욕망은 끝이 없나보다. 산 위에서 내려다보는 산아래 동네는 하나의 점으로 박혀있다. 산을 오르는 사람들은 늘 그 발아래 경치에 감탄하고, 또 그 감탄을 위해 오르는지도 모를 일. 감탄을 위한 감탄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는 법이다. 한번의 외마디 탄성보다는 사람의 정을 찾아 여행을 한다. 산 위에 둥지를 튼 옛 사람들의 발자취를 더듬어보면 충분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산너머 동네와의 교류가 주목적이었고, 협착한 골보다는 비교적 너른 들을 가진 산 위 둔덕을 찾았다. 요즘 세상이야 자동차가 있고, 몸만 실으면 어디든 빠르고 편하게 나르는 세상이니 산꼭대기 마을은 멀게만 느껴.. 2008. 5. 11.
어느 봄날... 황악산 직지사 무르익은 봄밤. 귀에 익은 새소리에 그때 그 '산중의 고요'가 그립습니다. 직지사 산너머 해발 700m 산중에서 살았던 적이 있습니다. 같은 황악산 자락이지만 제가 살았던 곳은 충청북도 영동 땅에 속합니다. 근처에 경북 김천, 전북 무주, 충북 영동이 접하는 삼도봉이 있고, 한 발자국만 건너뛰면 도를 넘나들다 보니 사투리 또한 제각각입니다. 사실. 삼도봉 아래 사는 사람들에게 행정상의 경계는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만 해도. 충청도 땅에 살면서 장보러는 경상도 김천으로 다녔으니까요. 직지사 아래 공원에는 음악분수가 있어 한여름 밤 더위를 피해 찾아드는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음악분수를 가동하는 시간이면 제가 사는 산너머 마을까지 그 불빛이 넘어 옵니다. 가로등 하나 없는 산중에. 산너.. 2008. 5. 9.
사과꽃 향기 그윽한 산장에서 열리는 서예전 심산(心山) 강성태 님의 '묵(墨)과 시(詩)의 자연교감전(展)'이 선류산장에서 열립니다. 일시 : 2008. 5. 10(토) - 19(월) 장소 :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지동리 배고개 '선류산장' 흙과 나무로 지어진 선류산장 사과꽃 향기 그윽한 과수원을 지나 쉬엄쉬엄 산길을 오르면. 가슴이 탁! 트이는 통쾌한 전망이 펼쳐집니다. 수석봉 아래 골짜기 깊숙히 자리한 '산적의 소굴' 같은 선류산장입니다. 황토 흙이 뚝뚝 떨어지는 흙집 산장에서는 민박이 가능합니다. 그 흔한 펜션이나 콘도와는 비교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는 집이지만. 흙집에서의 하룻밤은 잊을 수 없는 추억이 됩니다. 골짜기 끄트머리 산중 한가운데 자리한 산장에서 열리는 심산 강성태 님의 '묵과 시의 자연교감전'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을.. 2008. 5.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