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무주 이야기406

정월대보름 민속놀이 (산의실 짐대제, 부남 디딜방아액막이놀이, 잠두마을 산신제, 적상면 달집태우기) 행복하소서! 건강하소서! 둥근 달 보며 소원 빌고, 민속놀이와 함께한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로 음력 1월 15일을 의미한다. 선조들은 정월대보름을 설날보다 더 큰 명절로 여겼다. 마을마다 당산제 또는 산신제, 풍어제 등의 이름으로 정월 초, 또는 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 저녁부터 행하는 여러 가지 풍속들이 있었다. 무주에서도 지난 2월 5일 정월 대보름날을 기해 다양한 풍속 행사가 열렸다. 무주읍 내도리 산의실 솟대제와 부남면 대소리 디딜방아액막이놀이, 무주읍 용포리 잠두마을 산신제, 그리고 적상면 청년회에서 주관한 달집태우기 행사를 취재했다. 산의실 짐대제 무주군에서 유일하게 전승되고 있는 산의실 짐대제는 마을의 풍요와 공동체 구성원들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는 액막이의 의미를 담고.. 2023. 3. 13.
옛길 끝에서 만난 산촌(山村) 벌한마을 춘설(春雪) 내린 산마을 풍경 옛길 끝에서 만난 산촌(山村) 벌한마을 입춘이 지나고 며칠 후, 춘설이 내렸다. 간밤에 눈발이 날리는 것을 보고 잠자리에 든 터라,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습관적으로 창문을 열었다. “왔네. 왔어!” 마당에 눈이 소복이 쌓였다. 지체없이 카메라를 둘러메고 나갔다. 하지만 웬걸? 해발 500미터인 기자가 사는 동네를 벗어나자 눈은 보이지 않았다. 허탈한 마음에 눈이 쌓여 있을 만한 골짜기를 찾아갔다. 역시! 탁월한 선택이었다. 그곳에는 기자가 사는 동네보다 세 배는 더 많은 눈이 쌓여 있었다. 신선의 땅, 벌한마을 그곳은 설천면 두길리 벌한마을이다. 설천 출신이라면 ‘버라니’가 더 익숙한 지명으로 벌한마을은 무주에서 가장 산촌으로 소문난 곳이다. 설천면 소재지를 벗어나 라제통문.. 2023. 2. 27.
어사길, 덕유산, 무주구천동 단풍 올 가을 무주구천동 계곡의 단풍은 예년에 비해 더 곱고 화려하다.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며칠 사이 가을빛이 깊게 물들었다. 사진은 어사길 2구간 청류대와 비파담 일대 오늘 모습으로 단풍은 이번 주말쯤이 가장 좋을 것 같다. 2022. 10. 18.
명천(明川)을 거슬러 원통사 가는 길, 가을이 무르익었더라 명천(明川)을 거슬러 원통사 가는 길, 가을이 무르익었더라 성큼 다가선 가을을 즐기기에는 안성 땅이 제격이다. 무주 사람들을 다 먹여 살리고도 남았다는, 무주에서 가장 넓은 들을 가진 안성 땅은 지금 온통 황금빛이다. 사교마을 입구에서 두문마을과 덕곡마을을 지나 외당마을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차를 세웠다. 한없이 넓은 들과 높은 가을 하늘이 눈 앞에 펼쳐진다. 나지막한 산과 그 아래 마을들, 그 사이사이 푸른 소나무 숲이 점처럼 찍혀 있다. 마을에서 마을로는 크고 작은 하천이 실타래처럼 안성 땅을 적시며 흐른다. 부챗살처럼 안성 땅을 감싸고 있는 덕유산 자락에서 흘러온 통안천과 명천, 사전천이 서쪽을 향해 흐르다 구량천이란 이름으로 하나가 된다. 도치마을에서 시작해 안성면 소재지와 평장마을, 상·하이.. 2022. 10. 10.
‘한국의 이름다운 길‘ 무주구천동 드라이브길과 어사길 트레킹 무주구천동 33경을 따라 달리는 드라이브길과 어사길 트레킹 나제통문에서 구천동, 구천동 관광단지에서 백련사까지 이른 가을 풍경을 만나다! 무주 바깥의 사람들은 무주와 구천동을 하나로 본다. 하여, 구천동 33경이 아닌 ’무주구천동 33경’이라 부르는 것이 그들에겐 더 자연스럽다. 제1경인 나제통문을 시작으로 제2경 은구암, 제3경 청금대, 제4경 와룡담, 제5경 학소대, 제6경 일사대, 제7경 함벽소, 제8경 가의암, 제9경 추월담, 제10경 만조탄, 제11경 파회, 제12경 수심대, 제13경 세심대, 제14경 수경대, 제15경 월하탄, 제16경 인월담, 제17경 사자담, 제18경 청류동, 제19경 비파담, 제20경 다연대, 제21경 구월담, 제22경 금포탄, 제23경 호탄암, 제24경 청류계, 제25경.. 2022. 10. 10.
무주구천동, 덕유산 '어사길' 단풍 상황 10월 8일 현재 상황이다. 단풍은 아직 이르다. 다음 주부터가 좋겠다. 10월 15일과 16일에는 어사길 걷기 행사도 있다. 구간별 인증사진을 찍어 행사장에서 보여주면 기념품도 받을 수 있다. 2022. 10. 9.
무주 장안마을 삼굿구이 체험 아름드리 소나무와 느티나무 숲이 아름다운 무주군 부남면 장안마을 '삼굿구이 체험' 삼굿구이는 흙구덩이 안에 불을 피워 돌을 달군 다음, 고기, 고구마, 감자, 달걀 등을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쑥대나 솔가지 따위를 얹고 흙으로 덮은 후 물을 부어 그 수증기로 익혀 먹는 우리나라 전통 먹거리 문화다. '무주반딧불축제 전통 맛투어'는 장안마을 주민들이 5시간 전에 미리 불을 피워 준비하고, 참가자들과 함께 음식을 나눠 먹는 행사다. 복잡한 준비과정 때문에 인원을 200명으로 제한했지만 일찌감치 마감될 만큼 관심을 끌었다. 2022. 9. 27.
덕유산자연휴양림 '독일가문비나무숲' 무궁무진(無窮無盡)! 무주 한 바퀴-26 덕유산자연휴양림에서 만난 100년 숲, 독일가문비나무와 잣나무숲 태풍이 지나간 자리는 맑고 고요했다. 한여름 못지않게 덥고 습했던, 11년 만이라는 때 아닌 초가을 더위도 하루아침에 말끔히 사라졌다. 구천동터널을 벗어나면서 습관처럼 창문을 열었다. 살갗을 간질이는 기분 좋은 바람이 온몸을 감싼다. 한낮인데도 기온은 22도. 딱 좋다. 숲에 들기에는 아주 좋은 날씨다. 휴양(休養)을 위한 숲 목적지는 덕유산자연휴양림이다. 여름 성수기를 피해 굳이 이즈음에 휴양림을 찾은 건 다름 아닌 호젓한 숲에서 100년 세월을 오롯이 지켜 온 독일가문비나무를 만나기 위해서다. 가문비나무 앞에 독일이라는 이름은 붙어 있어 원산지가 독일일 것이라고 짐작했다. 하지만 웬걸? 본래 이름.. 2022. 9. 27.
제26회 무주반딧불축제를 빛낸 전통민속놀이 공연 무궁무진(無窮無盡)! 무주 한 바퀴-25 무주의 전통민속놀이 낙화놀이, 솟대제, 기절놀이, 무주농악, 뱃소배묻이굿놀이, 디딜방아액막이놀이 3년 만에 개최된 제26회 무주반딧불축제가 9일 동안의 일정을 마쳤다. 예년에 비해 공간 구성의 변화가 돋보였다는 평가다. 특히 아이들을 위한 공간이 다양해졌고, 야간에 볼거리가 많았다는 점, 최신 여행문화 중의 하나인 사진 찍기 좋은 포토존이 곳곳에 마련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좋은 추억을 만들어 주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2022년 무주반딧불축제에서 돋보였던 프로그램은 무주의 전통민속놀이 공연이다. 무주읍 산의실 솟대세우기를 시작으로 안성낙화놀이와 무풍 현내리 기절놀이, 무주농악보존회 공연, 부남면 뱃소배묻이굿놀이와 디딜방아액막이놀이가 남대천과 등나무운동장, 반딧불체.. 2022. 9.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