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처님! 축하드립니다. 무주에서도 석가탄신일을 기념하는 연등 행사가 있었습니다. 타도시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많은 분들이 나오셨더군요. 요즘 세상이 좀 시끄럽습니다. 부처님이 출마하시면 딱인데요... 2010. 5. 20. '1박2일'팀 다녀 간 강원도 맛집, 인제 <고향집> '1박2일'팀도 극찬한 강원도의 맛 맛의 기준은 각자의 취향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곳'에서 나는 재료를 이용한 음식이 아닐까 합니다. 눌산은 산골음식을 좋아합니다. 산에서 나는 산나물 같은 경우죠. 특히 강원도 음식을 좋아합니다. 담백하고, 깔끔합니다. 전라도 음식 처럼 복잡하지 않습니다. 양념은 적게 들어가지만, 재료의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엄청난 폭설로 감동을 안겨준 '1박2일' 혹한기 캠프 '아침가리'편 기억하시지요? 아침가리는 전기 전화도 들어오지 않는 오지 중의 오지입니다. 때마침 폭설로 멋진 그림까지 보여줬었지요. 그때 '1박2일'팀의 꽁꽁 언 몸을 녹여준 음식이 바로 인제 '고향집' 두부전골입니다. '고향집'은 눌산 단골집이었습니다. 시원한 국물과 산나물들, 오랜만에 그 맛을 느.. 2010. 5. 20. 폐교의 화려한 변신, 하늘내 들꽃마을 농촌체험, 숙박 공간으로 변신한 하늘내 들꽃마을 어느날 갑자기 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아이들이 적다는 이유였습니다. 아이들은 도시로 떠났습니다. 단 한명의 학생을 위해서라도 문을 닫지 않는다는 일본의 교육정책이 부러울 뿐입니다. 일본은 아이들이 없으면 잠시 휴교를 한다고 합니다. 아이들을 기다린다는 얘기지요. 대한민국의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99년 이후 학생수 100명 미만의 농촌 학교는 대부분 폐교되었습니다. 미련없이 문을 닫아 버렸습니다. 마을마다 있던 학교는 면소재지에 겨우 한개 정도 남아 있을 뿐입니다. 농촌학교들은 폐교 후 그대로 방치된 경우도 있지만, 다행이도 대부분은 화려한 변신을 했습니다. 문화예술 공간으로, 민박과 농촌체험 공간으로. 전원주택단지를 연상케하는 이곳은 옛 연평초등학교 .. 2010. 5. 18. 5월의 금강, 초록물이 흐른다. 금강 옛길트레킹 - 무주 부남면 대소마을에서 율소마을까지 걷기에는 절차가 필요없다. 배낭 하나 둘러메고 떠나면 그만이다. 사람들이 걷기에 열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등산을 즐기던 이들까지 합세해 이젠 온 나라가 거대한 하나의 길이 되었다. 등산보다 걷기에 더 매력을 느낀다는 이들도 있다. 그렇다면, 등산과 걷기의 차이는 뭘까. 등산은 수직이동이다. 정상을 향해 오르는. 그에반해 걷기는 산 아랫도리를 수평으로 이동한다. 수직이동을 통해 보고 듣지 못했던 것을 걷기에서 얻을 수 있다. 등산이 앞만보고 달리는 현대인이라면, 걷기는 삶의 질을 우선으로 하는 슬로우족이다. 금강 천리길, 그 중심에 서다 금강의 발원지는 전라북도 장수 신무산 자락 뜬봉샘이다. 천리길 대장정의 시작은 보잘 것 없고 초라하기 그지 없다.. 2010. 5. 17. 5월에 피는 야생화 모음 5월에 피는 적상산 야생화 이른봄 가장 먼저 피는 야생화는 복수초입니다. 다음으로 노루귀, 변산바람꽃, 얼레지가 핍니다. 야생화에 특별히 관심 없는 분이나 등산을 즐기지 않는 분이라면 아마도 평생 만나기 힘든 꽃들입니다. 대부분 깊은 산속에 피기 때문이지요. 5월에 들어서면 키도 크고 화려한 꽃들이 피고집니다. 더불어 나무꽃이 피고, 수풀은 무성해집니다. 이쯤되면 온 산은 초록으로 뒤덮게 됩니다. 5월에 피는 야생화를 모아봤습니다. 대부분 적상산에서 만난 꽃들입니다. 치렁치렁한 귀부인의 드레스를 닮았습니다. 그것도 아무나 소화하기 힘들다는 보랏빛입니다. 5월의 숲에서 만난 이 화려한 꽃은 '당개지치'라고 합니다.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없으며, 잎 표면과 가장자리에 흰색의.. 2010. 5. 17. 고사리 꺾으며, 숲에서 한나절 요즘 고사리가 한창입니다. 취나물을 비롯한 산나물도 우후죽순 올라오고요. 한창 바쁜 농사철이지만 산골 어르신들은 틈틈이 산으로 들어갑니다. 눌산도 아침나절에 다녀왔습니다. '언제나 봄날' 뒷산입니다. 적상산을 휘감아 도는 임도를 따라 한참을 들어가면 눌산이 찜해 놓은 고사리밭이 있습니다. 겨울이면 나무하러 다닌 그 길입니다. 목적은 고사리였지만, 눈부신 신록 앞에 고사리는 뒷전입니다. 이 멋진 5월의 숲을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아침의 촉촉한 숲길을 걸었습니다. 고사리를 처음 보는 사람은 그럴만도 합니다. 마른 더미 속에서 올라오는게 신기하기도 하고, 오동통하게 살이 오른 늘씬한 다리가 이쁘기도 합니다. 8등신 미인의 다리가 이 보다 이쁠 수는 없지요. 취나물입니다. 야생취는 쌈으로도 좋고, 데쳐 무쳐.. 2010. 5. 16. 이전 1 ··· 232 233 234 235 236 237 238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