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당신은 어느 길로 가시겠습니까 당신이라면 어느 길로 가시겠습니까. 눌산은 20년 째 이 길 위에 서 있지만 아직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2009. 12. 5. 밥만 묵고, 똥만 싸고, 잠만 자는 야옹이 놀아줘~ 밥 줘~하고 졸졸 따라 다니던 녀석이 밥 주고 나면 나 몰라라입니다. 배만 부르면 장땡이라는 식이지요. 눌산은 요즘 야옹이랑 놀며 지냅니다.^^ 밥만 묵고, 똥만 싸고, 잠만 자서 그런지 쑥쑥 자랍니다. 무거워서 안기도 힘들 만큼요.^^ 이리 뒹굴 저리 뒹굴... 볕 좋은 날이면 종일 저러고 지냅니다. 야옹아~ 또 밥줄려고? 불러도 한번 쳐다보고 말지요. 그런 야옹이도 고민이 있나 봅니다. 세상 근심 모두 다 짊어 진 저 자세.... 그래도 야옹이가 이쁩니다.^^ 오늘도 날씨 굿~이었습니다. 적상산 자락에 걸린 흰구름이 멋집니다. 여기는 얼마 전에 문을 연 적상체육공원입니다. 즉, 적상면민을 위한 체육시설인 셈이지요. 첨 가보았는데, 최고급 시설입니다. 아쉬운 것은 인조잔디라는 것. 펜션 손님들.. 2009. 12. 4. 겨울 숲의 주인, 낙엽송 속살을 드러낸 겨울 숲에서 단연 돋보이는 것은 낙엽송이라 불리는 '일본잎갈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식재되어 있는 나무 중 하나로 가을이면 황금빛으로 물이드는 낙엽성 침엽교목입니다. 이파리를 모두 떨군 겨울 숲에서 황금빛으로 물든 낙엽송 숲은 한 폭의 그림입니다. 강원도에 살면서 저 낙엽송 숲을 많이 봤습니다. 다른 나무들에 비해 빨리자라는 속성수로 화전민들이 떠난 산중에 많이 심었다고 합니다. 일종의 땜질인 셈이지요. 덕분에 우리나라 숲은 단시간에 우거졌습니다. 지금은 저 낙엽송도 천대를 받는다고 합니다. 돈이 되는 나무로 바꾸는 것이지요. 낙엽송 숲이 있는 곳은 분명 사람이 살았던 곳입니다. 밭이 있었던 자리라는 얘기입니다. 추위에 얼어붙은 산국이 애처러워 보입니다. 숲에서 겨울을 나기에는.. 2009. 12. 4. 동굴 속에서 와인을 마신다! 무주 머루와인 동굴 보물이 가득한 산, 무주 적상산의 명소들 '붉은치마산'이라는 뜻의 무주 적상산(赤裳山)은 보물이 가득한 산입니다. 천년 고찰 안국사와 해발 900미터 산꼭대기에 자리한 산정호수, 덕유산의 영봉과 금강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 적상산성, 적상산 사고, 천일폭포 등이 있는 곳이지요. 더불어 지난 6월에 문을 연 머루와인 동굴은 산중 한가운데 터널 속에 자리하고 있어 이색지대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점은 해발 1천미터 산꼭대기까지 자동차로 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걸어서 오르는 등산로와는 또다른 느낌이랄 수 있습니다. 자동차로 만나볼 수 있는 무주 적상산의 명소들입니다. 대부분의 명소들은 적상산 북동쪽에 위치한 북창리를 통해 오릅니다. 반대편 서쪽 서창마을은 등산로이고요. 가장 먼저 만날 수 .. 2009. 11. 30. 점점 개를 닮아 가는 야옹이 낯간지러운 애교에, 밥 달라고 떼쓰는, 그런 고양이 처음봅니다. 사실 고양이를 키워 본 경험이 없어 잘은 모릅니다. 윗집 아주머니 말씀이 꼭 묶어 놓고 키우라고는 했지만 안쓰러워 그만 풀어 놓고 말았습니다. 집을 나가면 다신 들어오지 않는다고 걱정했지만 다 지 팔자겠거니 했습니다. 이 집 나간다고 못 사는 건 아니니 고양이 집 나가는 것까지 걱정하고 살 필요는 없으니까요. 다행이도 잘 자라고 있습니다. 밥 잘 먹고, 심심치 않게 친구가 되주기까지 합니다. 야옹이 녀석 호기심이 참 많습니다. 아침이면 어김없이 눌산 방 창문틀에 앉아 바라봅니다. 사실 밥 달라는 얘기지요.^^ 물끄러미 바라보다 아무 댓구도 없으면 창문을 박박 긁어댑니다. 빨리 밥줘~ 하는거지요. 여차하면 뛰어내릴 자세입니다. 하지만 눈치 빠.. 2009. 11. 28. 이별의 골짜기... 별어곡역 억새전시관으로 거듭난 정선 별어곡역 간이역의 추억 하나 쯤 갖고 삽니다. 이별과 만남, 뜨거운 눈물을 훔치던 기억들 때문이겠지요. 지금은 잊혀진 간이역이 되었지만 눌산이 나고 자란 전라선 압록역은 오가는 사람들로 언제나 붐볐습니다. 국민학교를 졸업한 친구가 가난때문에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서울행 기차를 탄 곳이기도 합니다. 양손에 가득 선물보따리를 든 누이가 내리던 곳이기도 합니다. 늘 기다림의 장소였던 압록역은 이제 먼 기억 속에 남은 추억이 되었습니다. 결국, 그 기차를 타고 눌산도 고향을 떠났으니까요. 억새전시관으로 새롭게 단장한 별어곡역입니다. 정선선의 첫번째 역으로 지난 1967년 1월12일 영업을 시작, 1984년 배치간이역(역무원이 있는 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5년에는 역무원이 없.. 2009. 11. 28. 이전 1 ··· 262 263 264 265 266 267 268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