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선 단임골에 사는 42년 전 귀순한 리영광 씨와 그의 부인 꽃순이 정선 단임골에 사는 42년 전 귀순한 리영광 씨와 그의 부인 꽃순이 남한강 최상류 오대천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협곡입니다. 앞산 뒷산에 빨랫줄을 걸어도 될만큼. 봄이면 철쭉이 계곡 주변에 흐드러지게 피어나고, 사철 마르지 않는 청정옥수가 콸콸 넘쳐흐릅니다. 그도 그럴것이 오대산 우퉁수에서 발원해 첩첩한 산중 한가운데를 지나는 이 땅의 허파와도 같은 곳이니까요. 오대천으로 흘러드는 크고 작은 지천 중 단임(丹林)골은 단연 으뜸으로 칩니다. 장장 20리가 넘는 긴 골짜기는 여행 좀 한다는 꾼들에게 이미 소문난 곳이지요. 단임골이 세상에 알려진 건 아마도 이 분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42년 전 22살때 귀순한 리영광 씨가 그 주인공입니다. 리영광 씨의 고향은 개마고원입니다. 42년 전 귀순한, 귀순 1.. 2009. 4. 14.
고속도로 휴게소에 '고속도로 통행요금카드'가 없다. 저는 아직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하지 않았습니다.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는 것도 아니고, 만만치 않은 구입비용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큰 이유는 제 차는 장애인 차량이기 때문에 원활한 이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장애인이나 국가 유공자 차량은 일반차량 처럼 하이패스 차로 이용에 문제가 있습니다. 고속도로 진입시에는 하이패스 차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진출시에는 하이패스 차로가 아닌 일반차로에서 전자카드 및 감면카드를 제시하여 통행료 감면을 받아야 하는 시스템입니다. 하이패스 차로는 무정차 통과이기 때문에 본인 탑승여부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저같은 사람에게 하이패스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얘기가 됩니다. 그런 이유로 휴게소 종합안내소에서 '고속도로 통행요금카드'를 구입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톨게이.. 2009. 4. 13.
무주 적상산에서 만난 봄꽃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산색에 봄은 무르익어 갑니다. 봄 산은 겉과 속이 다릅니다. 화려한 산색에 비해 속은 매마른 낙엽더미 만이 가득하니까요. 산벚꽃, 복사꽃, 조팝나무 꽃이 흐드러지게 핀 산 속으로 들어가면 키작은 풀꽃이 지천으로 널려 있습니다. 고개 숙여. 봐달라고 아우성치는 여린 천사들입니다. 현호색. 촉촉한 계곡 주변이나 능선 주변에 많이 피는 꽃입니다. 흔해서, 너무 흔해서 천대 받는 안타까운 녀석이지요. 꿩의 바람꽃. 수많은 바람꽃 중에 꽃이 가장 크고 화려합니다. 역시 습한 계곡 주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괭이밥. 끝내 고개를 돌리지 않더군요. 부끄러운지.... 별꽃 산괴불주머니 별꽃. 나도바람꽃 2009. 4. 13.
떠나고 싶다...!? 도로변에 핀 철쭉. 승질이 급한 녀석이나 봅니다. 눌산 처럼. 아직 진달레가 한창인데.... 떠나고 싶나 봅니다. 어디로? 나도 좀 데려가 줘~ 하는 듯. 온 나라가 꽃놀이에 난리법석이니 저 녀석도 몸이 근질근질하지 하겠지요. 가라~ 아니. 가자~ 함께 가자~ 2009. 4. 13.
해발 800미터 산꼭대기 호수와 호국사찰 안국사 한국 100경 중 하나인 적상산의 명소들, 산정호수와 호국사찰 안국사전라북도 무주 적상산은 한국 100경 중 하나로 꼽히는 명산입니다. 사면이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단풍 든 모습이 마치 여인의 붉은치마를 닮았다 해서 적상(赤裳)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덕유산 국립공원 지구에 속하는 적상산에는 호국사찰 안국사와 산꼭대기 산정호수, 조선왕조실록과 왕실 족보인 선원록이 300여 년간 보관돼온 적상산사고 전시관 등을 품고 있습니다. 보통의 산은 골산(骨山)과 육산(肉山)으로 나뉩니다. 하지만 적상산은 골산과 육산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고, 숲길이 아름답습니다. 자동차로 산 정상 바로 아래 안국사까지 오를 수 있어 편하게 다녀올 수 있는 곳입니다.해발 800미터 적상산 분지에 자리한 산정호수 적상호. 절벽 위.. 2009. 4. 11.
무주 적상산 복수초가 활짝피었습니다. 무주 적상산에 복수초가 활짝 피었습니다. 2009년 복수초를 처음 만난 건 지난 1월 22일이었습니다. 강원도에서였죠. 이제 무주 적상산 복수초도 꽃을 활짝 피웠습니다. 같은 하늘아래 사는 복수초지만 개화시기가 무려 50일 씩이나 차이가 납니다. 지난 3월 31일 춘설 내린 날 새순이 돋는 걸 확인했으니, 열흘 만에 꽃을 피운 셈입니다. 어제 올라가 보니 꽃을 활짝 피웠더군요. 산자락이 온통 황금빛 복수초 군락입니다. 혼자 보기에는 너무도 아까운 풍경이었습니다. 여태 남의 동네 복수초만 만나고 다녔는데, 동네 뒷산에서 만난 복수초는 남다르더군요. 초여름 날씨지만 적상산 복수초 군락은 해발 1천미터가 넘는 곳이라 겨울 분위기입니다. 그만큼 꽃도 다른 지역에 비해 꽃이 늦게 피지요. 산자락을 노랗게 물들린 .. 2009. 4.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