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야옹이는 표정의 달인~ 오랜만에 야옹이 근황 올립니다.^^ 야옹이는 요즘 무척 심심합니다. 눌산이 자주 못 놀아줘서요. 따뜻한 날씨에 꾸벅꾸벅 졸기 일쑤이고, 그러다 정 심심하면 풀밭을 뒹굴곤 합니다. 아랫집에 갔다 들은 얘긴데, 어쩌다 그 집 근처까지 갔는지 진돗개한테 쫓기기도 했답니다. 얼마나 놀랬을까요. 주인이 바뻐서 겪은 설움입니다. 미안타. 야옹이 녀석은 카메라의 존재를 아나 봅니다. 피하지 않고 얼굴을 들이 밉니다. "제대로 좀 찍어봐~"하고 말입니다. 하품에 기지개까지, 카메라 셔터 누르기 바쁩니다. 야옹이는 표정의 달인입니다. 방에 들여 보내 달라고 떼쓰다 난간에 앉아 꾸벅꾸벅 졸고 있습니다.^^ 그래도 방에는 절대 못 들어 온다. 여긴 내 방이야!^^ 2010. 3. 29.
할미꽃은 왜 묘지 주변에서 잘 자랄까요? '할미꽃'은 양지바르고, 오래된 묘지 주변에서 잘 자랍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꽃으로 독성을 가지고 있지만, 보송보송한 솜털이 온몸을 감싼, 검붉은 속살에 꽃자주색 할미꽃의 자태는 가히 매혹적입니다. 적상산을 휘감아 도는 임도가 끝나는 곳에 할미꽃이 무더기로 피는 곳이 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 활짝 핀 할미꽃과 한나절 보낸 기억이 있어 찾아갔습니다. 하지만 많이 이릅니다. 한 열흘 이상은 차이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딱 한송이는 거의 피었습니다. 사람도 성질급한 '꽈'가 있듯이 말입니다. 꽃이 피기 전 드러난 뽀얀 속살과 솜털은 할미꽃의 상징입니다. 할미꽃이 묘지 주변에 잘 자라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고, 키가 작아 다른 식물로 인해 그늘이 지면 번식에 어려움도 있습니다. .. 2010. 3. 29.
봄나드리 일번지 섬진강 매화마을 강원도 폭설 소식이 연이어 들려옵니다. 저 남쪽에서는 봄꽃 놀이가 한창인데 말입니다. 그러고 보면 우리 땅 참 넓습니다. 며칠 전 눌산은 강원도를 다녀왔습니다. 나뭇가지에 소복히 쌓인 눈을 보고 와서 곧바로 매화가 흐드러지게 핀 섬진강을 다녀왔습니다. 겨울과 봄을 동시에 즐긴 셈입니다. 아마도 이번주를 고비로 섬진강 매화도 서서히 낙화를 시작할 겁니다. 그렇다고 섬진강의 봄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배꽃과 벚꽃이 그 뒤를 이어 피어납니다. 섬진강의 봄은 지금부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죠. 짙푸른 섬진강에 꽃물이 들테니까요. 사진은 광양매화마을입니다. 지나는 길에 잠시 들러봤습니다. 광양매화문화축제가 올해로 14회 째라고 합니다. 눌산은 14년 동안 단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매화마을을 찾았습니다. 갈 때마다 매.. 2010. 3. 28.
나도 꽃이야~를 외치는 앙증맞은 괭이눈 괭이눈의 종류도 무지 많군요. 55종이나 있다고 합니다. 전 애기괭이눈과 털괭이눈, 금괭이눈 정도만 아는데.... 눌산은 이 정도만 알고 있을랍니다. 더이상 알면 머리 아프니까요.^^ 어제 성주댐 인근을 지나다 만난 털괭이눈입니다.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엷은 녹색으로 타원형이고 마주나며,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되어 있습니다. 가지 끝에 엷은 황색의 작은 꽃들이 뭉쳐서 피어 납니다. 그 모양이 마치 고양이 눈과 같다 하여 괭이눈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끼 가득한 바위틈에서 주로 자랍니다. 괭이눈이 자라는 곳은 오염이 안된 땅이라는 증거가 되기도 합니다. 유난히 깔끔한 고양이의 습성을 닮은 것 같습니다. 요즘 눌산은 운전을 하다가도 주변을 유심히 살핍니다. 야생화가 있을 만한 곳을 보면 곧바로 차.. 2010. 3. 28.
영락없는 할아버지 수염 닮은 '동강고랭이' 동강에도 봄이 오고 있습니다. 봄눈 녹아 흐르는 물이 홍수난 것 처럼 콸콸 흐릅니다. 동강의 봄은 동강할미꽃과 동강고랭이, 돌단풍으로 시작합니다. '뼝대'라 불리는 붉은색을 띈 절벽에 달라 붙은 이 동강삼총사가 막 꽃을 피우기 직전입니다. 뼝대는 사행천(蛇行川) 동강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좌로 우로 수십 수백 번 굽어 흐르는 물길따라 양안은 이 붉은 뼝대가 도열해 있습니다. 동강을 한국의 그랜드캐년이니, 계림이니 하는 이유도 다 이 뼝대때문이지요. 더불어 이뼝대에는 보물이 가득합니다. '동강할미꽃'과 동강할배로 불리는 '동강고랭이', '돌단풍' 같은 희귀식물이 자랍니다. 동강에 들어서는 순간, 영락없는 할아버지 수염을 닮은 동강고랭이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사초과의 동강고랭이입니다. 파란 새순이 .. 2010. 3. 27.
지리산 자락 부전골 산골아낙 산이 좋아 산에 사네 지리산 자락 부전골 산골아낙 산골의 봄은 더디게 온다. 골이 깊어질수록 바람은 더 촉촉하다. ‘봄눈’ 녹아 흐르는 계곡의 물소리 때문이다. 산골의 봄소식은 이런 물소리 바람소리에서 먼저 느낄 수 있다. 송림 사이 잔설은 아직 겨울빛을 띄고 있지만 고샅 돌담에 핀 산수유 꽃은 이미 봄을 알리고 있다. 협착한 골짜기를 가득 채운 봄이 오는 소리에 귀 기울이며 걷다 보니 어느새 근사한 흙집 한 채가 눈에 들어온다. 부전골에도 봄의 소리가 들린다. 30년 서울 생활의 종지부는 ‘고향’이었다. 김인식(59) 씨가 제2의 삶을 시작한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부전골은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서상 나들목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다. 지리산이 품은 고장 함양에서도 오지로 소문난 곳으로 예로부터.. 2010. 3.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