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체험이 대세다! 옥천 포도축제다녀왔습니다. 무주의 매력에 점점 빠지고 있습니다. 가까운 영동에서 한 3년 살았던 적은 있지만 무주를 잘 알진 못했습니다. 무주에 특별한 연고가 있어 정착하게 된 것도 아닙니다. 굳이 이유를 따지자면 우리나라의 정중앙에 위치해 있어 교통이 편리하고 덕유산을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점, 고요히 살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 무주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요 며칠 펜션을 기준으로 1시간 이내 거리에 있는 영동, 옥천, 김천, 거창, 진안, 금산 지역을 둘러보았습니다. 아시겠지만 무주는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네개 도의 접경 지역입니다. 거기에 대전이 30분 거리에 있어 전라북도의 변방이라 할 수 있는 곳이죠. 그만큼 타 지역과의 교류가 빈번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곳.. 2008. 7. 21. 길 위에 선 당신 아름답습니다. 두 다리 멀쩡할때 걷자! 이왕이면 먼지 풀풀 날리는 흙길이라면 더 좋고, 호젓한 산길이라면 더 없이 좋다. 아름다운 우리 땅 구석구석을 두 다리로 밟아 보자. 유명 관광지는 휠체어 타고도 갈 수 있으니까. 20대때 굳게 다짐했던 걷기 예찬입니다. 그동안 원없이 걸었습니다. 16년 전에 백두대간 종주를 했고, 남해안과 동해안 자전거 여행, 7번 국도 도보여행, 낙동강 1,300리 도보여행, 섬진강 도보여행, 돌산도 도보여행 등. 그래도 걷고 싶습니다. 길 위에 서면 좋습니다. 이유는 없습니다. 그냥 좋습니다. 뜬금없는 민박집 주인이 되면서 마음데로 긴 여행하긴 힘들어졌습니다. 그래도 기회가 온다면 60리터 배낭을 꾸리겠지만요. 읍내 나가는 길에 한무리의 젊은이들을 만났습니다. 단박에 도보여행 중이라는 것을.. 2008. 7. 21. 산골 오지마을 예술잔치에 초대합니다. 7년 전, 오지마을 주민들을 모시고 한 달에 한 차례씩 '그믐밤의 들놀음'이란 이름으로 상설공연을 시작해 지금의 '산골공연 예술잔치'로 승화시킨 자계예술촌의 다섯번째 공연이 충청북도 영동의 오지마을 자계리에서 열립니다. "교회나 성당에서 촛불을 켜고 예배나 미사를 볼 경우 나름의 엄숙함을 돋구던 촛불들이 이 곳 산골마을 지천에 널려진 개망초꽃 만큼이나 온 나라를 덮고 있는 요즘"으로 시작한 자계예술촌의 대표이자 극터 터의 상임연출을 맡고 있는 박창호 대표의 인삿말은 "늘어만 가는 마을의 빈집을 채워 줄 되돌아오는 농촌마을을 찾기 위한 작은 실천이길 꿈꾸었다."고 합니다. 촛불 하나가 수천 수만의 거대한 희망의 불꽃을 피웠 듯 이 작은 실천이 이 땅의 주인인 우리 어머니 아버지들에게도 큰 웃음을 드렸으면 .. 2008. 7. 18. 해발 천미터 산꼭대기 찻집에 앉아 늦은 밤(16일) 동쪽 끝에서 3시간을 달려 손님이 오셨습니다. 평일 휴가를 내 일부러 오셨다는군요. 이유는. 설천장터의 찐빵 맛을 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몇일 전 제 블러그에 '39년째 시골장터에서 찐빵파는 할머니' 이야기를 올렸었는데. 바로 그 할머니의 찐빵을 먹기 위해서요. 어제가 바로 설천장이었거든요. 그 찐빵 때문에 여러통의 전화도 받았습니다. 그 할머니 연락처를 알 수 없냐는. 택배로라도 맛을 보고 싶다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저도 한때는. 스쳐지나는 이야기라도 특별한 사람이나 맛, 장소에 대한 얘기를 들으면 한걸음에 달려가곤했습니다. 저의 여행은 늘 그랬습니다. 미리 준비하고 계획하는 여행에 대한 기억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바로. 뜬금없는 여행이 주는 매력이죠. 아무튼. 멀리서 오신 분과.. 2008. 7. 17. 무지 무지 촌스러운 강, 완주 고산천 느리게 흐르는 강이 있습니다. 무지 무지 촌스러운 모습으로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알 수 없을 만큼 느려터졌습니다. 그렇습니다. 강이 느려야지요. 하지만 요즘 강이 어디 그렇습니까. 제단을 하듯 반듯하게 제방을 쌓고 강바닥은 가마솥 누룽지 긁어 내 듯 박박 긁어 버리지 않습니까. 다 이유야 있겠지요. 홍수를 예방하고 치수 관리 차원에서 그렇겠지만. 한번 건드린 강은 제모습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악순환이 아닐 수 없습니다. 느린 강을 보고 있자니 영락없는 백수의 걸음걸이를 닮았습니다. 하릴없이 마냥 걷고 싶은 제방 길이 길게 이어집니다. 한낮 더위를 피해 물 속으로 풍덩 몸이라도 던지고 싶은 날이면. 저 고산천이 생각납니다. 안수산(554m)과 서방산(612m), 운암산(597m)이 빙 둘러 고산면소재지인 .. 2008. 7. 17. 이런 전화 받아보신 적 있나요? 일반전화가 있지만 거의 쓰지 않습니다. 전화벨이 울리면 반가울 정도니까요. 오늘 아침 전화가 한통 왔습니다. "우체국인데요. 선생님 앞으로 등기우편이 발송되었으나 부재중이어서 반송되었습니다. 상담을 원하시면 9번을 눌러주세요."라는 녹음 메세지였습니다. 전 선생님도 아닌데 선생님이라니요.^^ 순진하게도, 아니 멍청한거죠. 9번을 눌렀습니다. 그랬더니. 바로 그 중국에서 걸려온다는 그 전화였습니다. 단박에 알 수 있을 말큼 어눌한 연변 사투리랄까요. 전 처음 겼는 일이라 끝까지 들었죠. "성함이?" "핸드폰 번호가" 다 말해줬습니다. "우체국 신용카드 발급 신청을 하셨죠? "아니요. 그런 적 없는데요." "그럼 누가 선생님의 명의를 도용해 만든거니까 곧바로 경찰에 신고를 해드리겠습니다. 5분 후 경찰서에서.. 2008. 7. 16. 이전 1 ··· 333 334 335 336 337 338 339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