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우 600g을 1만 5천원에 먹을 수 있는 곳 전라북도 정읍 산외, 강원도 영월 주천, 전라남도 장흥은 한우고기를 저렴하게 먹을 수 있는 곳들입니다. 한우 직판장에서 생고기를 구입, 곧바로 식당에서 구워 먹는 방식이죠. 한우 판매장과 식당을 함께 운영거나 바로 옆에 붙어 있어 번거로움은 없습니다. 요즘은 그런 방식의 한우전문점들이 전국 곳곳에 생겨나고 있습니다. 얼마전 지나다 보니 구례 산수유마을 앞에도 있고, 순천가는 17번국도 변에도 눈에 띄더군요. 이들은 대부분 성장속도가 빠른 거세한우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진짜 한우를 구별할 능력이 없다보니 이따금 신문지상에 오르내리는 가짜 한우를 판매하다 적발 된 경우를 보면. 이런 한우직판장은 믿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맛 또한 좋아 많은 사람들이 찾을 수 밖에 없겠지요. 눌산도 이따금 찾을 정도니 .. 2009. 3. 27.
'사람' 중심 여행은 절대 탈 나지 않습니다. 어제. 두 통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먼저 걸려 온 전화. "예약 좀 할려고 하는데요?" "언제 오시게요?" "네. 7월 31일부터 2박3일 예약 가능한가요?" "아... 네. 가능은 한데. 아직 멀었는데요." "그때 방 없을까바서 미리 예약 할려고요." "그 정도로 잘 나가는 집이 아닌데요.ㅎㅎ" "어! 인기 무지 많다던데요." "맨날 팅팅 놉니다.ㅎㅎ" "그래도 예약해주세요. ㅎㅎ" "아직 멀었으니까요. 연락처 메모했다가 그때 전화드리겠습니다." 저희집에 한번 오셨던 분이 소개를 한 모양입니다. 빨리 예약하지 않으면 방 없을거라고. 맨날 팅팅 노는 속도 모르고....^^ 두 번째 전화. "방 예약 가능하죠?" "아.... 네. 언제요?" "이번주 토요일요. 40평 짜리 예약해주세요." "네. 요금은 1.. 2009. 3. 27.
눌산(오지여행가, 여행작가)입니다. 지난 20여 년 뜬금없는 여행을 했습니다. 우리 땅의 숨겨진 속살, 오지를 찾아다녔습니다. 오지 여행가, 트레킹 전문가, 방송 리포터, 여행 강사, 여행작가로 살았습니다. 오프라인 여행클럽인 '오지여행자클럽 트레블코리아'와 마이클럽 오지여행 동호회 '오지여행자클럽', 국내 최초의 유료 여행 사이트인 '최상석의 한국의 오지여행(오지코리아 ozikorea)'를 10여 년 운영했습니다. 무주에 살면서, 신문 잡지에 사람, 자연, 길, 골목, 지역 관련 칼럼을 기고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자연'을 주제로 학교와 기업체, 지자체 등에서 강연을 하고 있습니다. 눌산(訥山)이란 이름은 돌아가신 스승님이 주신 이름입니다. 드러내지 않고, 산처럼 묵묵히 살라고요. 즉, 입다물고 조용히 살란 뜻입니다. 그런데 아직 그러하.. 2009. 3. 27.
늙은. '바람난 여인' 얼레지 간밤에 꽤 거센 눈보라가 지나갔습니다. 우아함을 지키기 위해 안감힘을 쓰던 여인은. 결국. 고개를 떨구고 말았습니다. 늙은. 여인의 자태는. 그래도 곱습니다. 꼿꼿한 허리는. 아직 힘이 느껴지는 대궁은. 마지막까지 우아함을 잃지 않았군요. 눈보라에 갈갈이 찢긴. 처참한 모습 속에서도. 여인의 자존심이 느껴집니다. 사이좋은..... 바람은. 결국. 떼어 놓고 말았습니다. 야속한 바람. 스러지는 순간까지도 우아한 자태를 잃지 않는. 얼레지랍니다. 묘한 표정이군요. 쪽진머리 곱게 빗어 넘기고. 어딜가시려나... 헝크러진 머리. 바람을 원망하진 않습니다. 아직 새파란 청춘은. 늙은 얼레지의 마음을 알까요. 새생명을 부러워 하지도 않습니다. 나도 한때는 말이다.... 장렬히 쓰러져가는 전사처럼. 여인은 그렇게. .. 2009. 3. 26.
복수초. 스러지다. 느린걸음으로 다가왔던 봄이. 우거진 복수초 이파리 사이로 멀어집니다. 변덕쟁이 봄은. 이렇게 서둘러 떠나나 봅니다. 도톰한 털목도리 두루고. 뽀얀 속살을 드러내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치렁치렁한 치마에. 새생명을 잉태한. 완숙한 여인의 모습으로 나타났군요. 그래도 좋습니다. 뽀얀 속살 감춰도. 보이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는 아니니까요. 보이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바람처럼 말입니다. 게으른 녀석들은. 마지막 황금빛을 토해내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그래도. 지난밤 눈보라에 잘 견뎌주었구나. 숲은 어느새. 새옷을 갈아입고 있습니다. 홀로 새벽을 맞이한 복수초는. 그래서 외롭지 않아보입니다. 친구가 생겼으니. 그 여리디 여린 새순에. 노란 꽃이 피더니. 어느새. 거목이 되었습.. 2009. 3. 26.
서창마을에서 길왕마을까지. 나는 '옛길'에서 흥분한다. 나무하러갔다. 농띵이 치는김에 느긋하게 놀아보자. 뭐. 이런 기분으로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던 옛길을 걸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서창마을에서 그 윗마을인 길왕마을까지입니다. 지난 겨울 폭설이 내렸을때 다녀왔던 길(http://ozikorea.tistory.com/451)은 임도였고. 이번에 걸은 길은 말 그대로 옛길입니다. 트레킹을 즐겨합니다. 고상하게 표현하면. 그렇고. 그냥. 걷기죠. 산보다는. 정상을 향해 죽어라고 오르는 산행보다는. 산책같은 발걸음으로 가볍게 걷기가 좋습니다. 시간이 길수록 좋고요. 보통 서너 시간 정도면 좋겠지요. 산중 한가운데 저런 길을 만나면 흥분합니다. 묘한 카타리시스를 느끼게 되는데. 가고싶다. 걷고싶다.는 참을 수 없는 욕망이 끓어오릅니다. .. 2009. 3.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