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할미꽃'은 왜 묘지에서 잘 자랄까? '할미꽃'은 양지바르고, 오래된 묘지 주변에서 잘 자란다. 실제로도 그런 곳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꽃으로 독성을 가지고 있지만. 보송보송한 솜털이 온몸을 감싼. 검붉은 속살에 꽃자주색 할미꽃의 자태는 가히 매혹적이다. 나무하다 뚜렷한 길의 흔적을 따라 걸었다. 고상하게 표현하면 그렇고. 실제로는 농띵이쳤다. 그러다 양지바른 산사면 곳곳에 자리한 묘지를 만났고. 딱 이 정도의 장소라면 할미꽃을 만날 수 있겠다.했더니 여기저기서 할매들이 손짓을 한다. 꾸부정한 허리에 보송보송한 흰머리, 여전히 고운 얼굴, 인자한 미소까지 영락없는 할머니를 닮았다. 할미꽃이 묘지 주변에 잘 자라는 여러 이유가 있다.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고. 키가 작아 다른 식물로 인해 그늘이 지면 번식에 어려움도 .. 2009. 3. 25. 산중일기 저~기 저 아래. 산중일기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시골살면서 보고 느낀 소소한 일상을 적어보자는 마음이었는데. 일기라는게 국민학교 다닐때나 지금이나 꼬박꼬박 쓴다는게 어렵습니다. 그동안 너무 소홀이 한 것 같아. 앞으로 잘 쓰겠다고 다짐해봅니다. 쓸려고 마음만 먹으면. 하루 하루 한 일도 많고. 해야 할 일도 많으니까요. 마당에 두어번 나갔다오면 하루가 갑니다. 산골생활이 적적하지 않느냐는 사람들의 질문에. "도시 생활보다 더 바쁜데요."하면 이해하기 힘들겠지요. 하지만. 사실입니다. 아무것도 한 일은 없는데. 하루가 금방가니까요. 아마도. 눈에 보이는 일들이 아니어서겠지요. 손가락을 다친 후 처음으로 나무하러갔습니다. 6월 초까지는 벽난로에 들어갈 땔감이 필요하니까요. 겨울동안 부지런히 한다고 했는데. .. 2009. 3. 24. '바람난 여인(얼레지)' 여기 다 모였네. '바람난 여인'은 얼레지의 꽃말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예년에 비해 이른 개화를 시작한 봄꽃들을 죄다 만났습니다. 복수초를 시작으로 노루귀, 바람꽃, 그리고 제가 좋아하는 얼레지까지. 원없이 만났습니다. 눈이 시리도록. 지난 일요일. 긴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또 다른 얼레지 군락를 만났습니다. 얼레지밭입니다. 꼭 누가 심고 가꾼 것 처럼 '밭'을 이루고 있습니다. 도로에서 빤히 보이는 산자락 밤나무밭입니다. 한적한 지방도로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지나치더군요. 발자국을 보니 제가 처음인 것 같았습니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 진다고 했던가요.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운전을 하면서도 늘 주변을 두리번 거린 덕분에. 이런 거대한 얼레지 꽃밭을 만난 것 같습니다. 장소는 하동인근입니다. 사진에.. 2009. 3. 24. 적상산에서 만난 봄꽃들 암자터를 찾아볼 목적으로 가볍게 광각렌즈 하나만 들고 올라갔다. 방향이나 지형으로 보아 얼레지 같은 봄꽃은 만날 생각을 안했기에. 어디서든 흔하게 만날 수 있는 현호색은 지천으로 널렸다. 소나무 숲에는 다른 식물이 거의 자라지 못한다. 양분을 다 뺏어 먹어서 일게다. 그래서 난 소나무가 싫다. 저 혼자 잘 먹고 잘 사는 녀석이기에. 하지만 소나무숲에서도 잘 자라는 녀석들이 있다. 바로 저 노루발풀이다. 더 남쪽으로 내려가면 춘란도 소나무숲에서 많이 만날 수 있다. 아마도 이 두 녀석을 제외하면 더는 없는 것 같다. 현호색. 산 입구에서 부터 서서히 보이기 시작하더니 발걸음을 계속 멈추게 한다. 귀찮을 만큼. 너무 흔해서 천대받는 녀석이다. 자세히 보면 꽃미남이 따로 없다. 요즘 유행하는 F4도 울고 갈 .. 2009. 3. 24. 전설 속 절터를 찾아서 무주 적상산에는 천년고찰 안국사가 있다. 그 외에도 역사 속 사찰은 몇 더 전해져 온다. 펜션 '언제나 봄날' 뒷산이 적상산이다. 집에서 바라 보면 거대한 단애(斷崖)층이다. 다들 미리 겁먹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절벽때문인데. 등산로는 절벽을 모두 비켜지나간다. 오히려 이런 단애를 구경하기 조차 힘들다. 등산로만 본다면 육산에 가깝다. 뒷집 식당 아주머니 왈, "옛날에 저 절벽 밑에 암자가 있었는데, 스님이 아홉 분이나 살았데요." 봄꽃 얘기가 나와서였다. 암자터에 가면 꽃이 많다고. 가보란다. "이판나물도 많고, 금낭화는 말도 못해요." 이판나물은 나중에 알고보니 윤판나물이었다. 궁금하다. 안가본 길이니 더 궁금하다. 며칠 장거리 여행을 했더니 몸도 무겁고. 무거운 몸 푸는데는 산행이 최고기에. .. 2009. 3. 24. 해운대에서 공짜술 마신 사연 펜션 주인이 되고 처음으로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여행? 허구헌날 여행 다니면서. 무슨.... 그동안은 업무차. 였고. 지나는 길에 보고 찍고 했던 것이고요.^^ 아무튼. 펜션 주인 8개월 만에 처음으로 예약 손님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떠났습니다. 부산으로~ 부산은 낯선 곳입니다. 여행가인 저도. 부산여행은 그저 남들 다 가는데 몇곳 수박 겉핥기식이었죠. 이번 여행의 목적은 부산의 맛집 탐방입니다. 자갈치에서 부터 광복동-남포동-해운대-기장, 그리고 동해 남부바다를 스쳐 포항까지. 이 정도 기본 계획을 잡았습니다. 자갈치에서 꼼장어를 먹고, 광복동에서 완당도 먹고. 해운대로 향합니다. 그런데 허름한 주점 하나가 눈에 확 들어옵니다. 부산 맛집 어쩌고 하더니 고작 주점? 하시겠지만. 제겐 나름대로의 여행 .. 2009. 3. 23. 이전 1 ··· 299 300 301 302 303 304 305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