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봄은 노랑이다! 노랗게 물든 구례 산수유마을 지리산 산동 골짜기가 노랗게 물들었다. 거기다 형형색색의 옷차림을 한 상춘객들로 가득하니. 그야말로 총천연색이 따로 없다. 주말 인파가 빠져나간 산수유마을을 찾았다. 딱 한 달만이다. 한가롭게 봄을 즐기는 사람들.... 그 속으로 들어가 본다. 황사란 녀석때문에 만복대가 안 보인다. 그 옆으로 성삼재까지 희미하게 보일 뿐.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의 특징은 이런 돌담에 있다. 정겨운 풍경이 아닐 수 없다. 산수유꽃과 아주 잘 어울리는 한 쌍이다. 산동에는 숙박시설이 많다. 근사한 콘도가 즐비하다. 나라면. 이런 한옥 민박에서 자겠다. 구례 산수유마을은 상위마을과 하위마을로 나뉜다. 각각의 특징이 있지만. 고샅 풍경이 아름다운 하위마을이 낫다. 사진작가들이 많이 찾는 걸 보면 말이다. 늙어 비틀어진 열매까지 .. 2009. 3. 17. 어머니의 손맛을 느끼다, 구례 '영실봉' 갈치요리 남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덕분에 갈치나 조기 같은 생선은 많이 먹고 자랐다. 대신에 돼지고기는 1년에 한 두번, 마을에 잔치가 있거나 아주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었고. 아궁이 잔불에 노릇노릇하게 구워 먹었던 군산 먹갈치 맛은, 아마도 죽어서도 보기 힘들 것이다. 세상이 변했다고, 음식 맛까지 변할 필요는 없는데 말이다. 구례에는 맛집이 많다. 소문난 집만 해도 손가락 열 개가 모자란다. 지리산과 섬진강이 있어 옛부터 먹을거리가 풍성했을 것이다. 한 달 전에 우연히 이 집 앞을 지나다 자리가 없어 나오는 손님들을 보고 "이 집은 무조건 맛있는 집이다."고 단정하고 들어갔지만 자리가 없어 맛을 보지 못했다. 어제, 다시 찾았다. 메뉴가 단순하다. '꾸고 지지고', 갈치구이와 갈치 조림이란 얘기다. 머리.. 2009. 3. 17. 안녕~ 복수초 골짜기는 곡선이다. 좌로 우로 서너 번 꺾어지고 나서야 골짜기의 끝이 보인다. 끝이 보일때 쯤 넓은 분지를 이룬 마을이 있다. 바람은 적고, 일조량은 많다. 아침 일찍 해가 들어오고, 하루 종일 머문다. 복수초는 이런 땅 북사면에서 자란다. 그동안 만난 복수초가 다 그랬다. 한낮의 뜨거운 햇살보다 짧은 시간이지만, 하루 중 아침해가 가장 강하다고 한다. 복수초는 그런 아침해를 가장 좋아한다. 고개를 돌려가며 아침해를 온몸으로 받는다.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시간이다. 모든 에너지가 보충되는. 하나같이 동쪽으로 고개를 돌린 모습을 볼 수 있다. 참 기특하다. 키가 큰 녀석은 꽃도 크고 대궁도 굵다. 햇빛을 많이 받아서 말이다. 그에 반해 키가 작은 녀석들은 꼰지발을 세워도 부족하다. 그래서. 느리게 자란다... 2009. 3. 17. 3월의 여왕 '얼레지꽃'을 만나다. 3월은 봄의 시작이고. 꽃의 계절입니다. 섬진강 자락 매화와 산수유꽃을 시작으로 이 땅은 꽃천지가 됩니다. 키가 큰 나무꽃에 비해 사람들의 관심을 덜 받는 꽃이 있습니다. 바로. 얼레지입니다. 얼레지는 땅꽃입니다. 얼었던 땅 속에서 뿌리를 내린 얼레지는 3월에 들어서면서 그 화려한 자태를 드러냅니다. 얼레지는? 백합과의 다년생초로 숲속 나뭇그늘에서 주로 자랍니다. 나무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피었다가 잎이 나올 무렵에 열매를 맺고 죽기 때문에 봄을 알리는 꽃으로 알려져입니다. 꽃말은 '바람난 여인'이랍니다. 오매불발 기다리던 얼레지를 올들어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치렁치렁한 치맛자락을 펄럭이며 산중 깊숙한 바위 틈에서 얼굴을 드러낸 얼레지의 자태는. 그 이름 만큼이나 화려했습니다. 반가운 여인이여...... 2009. 3. 16. 미리가 본 광양 매화문화축제 현장 광양 청매실농원에서 오늘(14일)부터 22일까지 광양 매화문화축제가 열립니다. 봄 축제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축제의 계절을 알리는 첫 축제나 다름없으니까요. 어제 미리 만나 본 축제장 풍경입니다. 평일이지만 자동차 행렬이 긴 꼬리를 물고 지나갑니다. 유심히 살피다 보면 축제가 열리는 청매실농원 보다 더 멋진 포인트를 만날 수 있습니다. 막 비가 그친 후라 먹구름층이 두텁습니다. 클레어 모드로 담아봤습니다. 3월이면 어김없이 매화마을을 찾았습니다. 아마도 십수 년은 된것 같군요. 그런데 단 한번도 포근한 날씨를 만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언제나 꽃샘추위로 떨었던 기억이 납니다. 3월의 섬진강은 바람의 길이 됩니다. 갈때마다 없던 구조물이 들어서 있는 것을 봅니다. 길도 새로 닦이고. 흙길 흉내만 낸 큰크리.. 2009. 3. 14. 기차로 떠나는 봄꽃여행 - 전북 완주 대아수목원&화암사 3월 초 때이른 봄맞이에 나서는 여행객들은 남도행 기차를 탄다. 상춘객들은 봄의 전령사로 잘 알려진 매화꽃으로 꽃물결을 이루는 섬진강으로, 혹은 봄꽃의 여왕 벚꽃을 보기 위해 진해나 지리산, 혹은 쌍계사로 향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산수유나 매화보다 빨리 봄을 알리는 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애기손톱만한 크기의 복수초, 노루귀, 얼레지 등 우리네 들녘을 감싸고 있는 들꽃들이다. 들꽃 씨앗들은 겨우내 땅 속에 깊이 숨을 죽이다가, 아직 얼음이 남아 있는 차가운 대지에서 작지만 강한 싹을 틔워 나름의 빛깔을 뽐낸다. 전북 대아수목원에서 만난 이들의 강한 생명력에 자연스레 경외감을 표할 수 밖에 없다. 지금 전라선 열차에 몸을 싣고 봄 맞으러 떠나자. 전주 시내에서 만경강의 본류인 고산천을 따라 상류로 거슬러 .. 2009. 3. 14. 이전 1 ··· 302 303 304 305 306 307 308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