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세상에서 제일 큰 빵은? '점빵(店房)'입니다.^^ 시골마을 가게치고는 근사합니다. 하지만 그 규모는 아주 작습니다. 이십 여 가구 남짓 사는 작은 마을에 딱 어울리는 크기죠. 담배를 사러 저 점빵을 찾았습니다. "가게 이름이 너무 멋집니다." "세상에서 젤로 큰 빵이 뭔 지 알어?" "점빵이여~ ㅎㅎㅎ" 가게 앞에서 만난 마을 어르신의 말씀입니다. 유머가 있으십니다. 고단한 삶이지만. 인상 팍팍 쓰고 살 필요 없단 얘기죠. 어르신 덕분에. 힘든 산행을 하고 난 피로가 싹 가시더군요. 빵치고는 정말 크죠?^^ 친절하게도 아주 작은 글씨로 '店房'이라고 따로 써있습니다. 2009. 3. 5. 우연히 만난 복수초 군락 자동차로 고갯길을 오르다 볼 일이 급했습니다. 급히 도로 변에 차를 세우고 골짜기 안으로 몇 발자국 걸어들어가 볼 일을 봤습니다. 그런데. 저 멀리 황금단추가 반짝이는게 눈에 들어옵니다. 머릿속으로 복수초가 스쳐지나갔습니다. 설마... 설마 복수초가 이런 도로 변에 있을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 황금단추는 복수초였습니다. 몇해 전 이렇게 우연히 만나게 된 복수초 군락지를 어제 찾았습니다. 예상대로 50%는 개화를 했더군요. 적설량 5cm 정도의 눈이 내린 다음날이라 설중 복수초를 기대했습니다. 하지만 눈 한방울 남지 않고 다 녹아버렸더군요. 아쉽지만. 눈 녹은 물에 촉촉히 젖어 힘있게 솟구치는 복수초의 대궁을 보았습니다. 내가 운이 좋는건가.... 생각해봅니다. 볼 일보러 갔다가 이런 복수초 군락.. 2009. 3. 5. 섬진강과 지리산을 한 눈에... 구례 누룩실재 옛길 트레킹 누룩실재는 섬진강 변 유곡마을에서 지리산 아래 구례 사동마을로 넘어가는 옛길입니다. 유곡마을 사람들이 구례 장보러 넘나들던 길이지요. 봄햇살 살갑게 눈웃음 치는 따뜻한 날 누룩실재를 넘었습니다. 구례 사동마을입니다. 산 너머는 유곡마을이고요. 농촌 테마마을로 다무락(돌담의 전라도 사투리)마을로 알려진 유곡마을에 비해 훨씬 더 돌담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사람이 떠난 집은 이미 사라지고 없지만 돌담은 그대로입니다. 녹슬은 양철대문까지도 정겹습니다. 마을 전체가 돌담만 남아 있는 모습입니다. 사동마을 뒤로는 소나무 숲입니다. 옛길은 곧바로 이 소나무 숲을 파고들어 잿마루로 향합니다. 자동차가 다닐 만큼은 넓은 길입니다. 아주 오래 전에도 이 길을 통해 소달구지가 넘어 다녔다고 합니다. 누룩실재 잿마루에는 등.. 2009. 3. 4. 노루귀의 S라인 몸매 한번 보시죠 한줌 햇살이 아쉬운 지난 일요일 오후 노루귀를 만나러 갔습니다. 한낮에만 활짝 피웠다가 오후가 되면 꽃잎을 오무려 버리기 때문에 노루귀 촬영은 오전 시간이 좋습니다. 가는 허리가 얼마나 여린지 후~ 불면 그냥 쓰러질 것 갔습니다. 노루귀는 꽃이 지고 난 후 돋아 나는 이파리가 노루의 귀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정도면 S라인이라고 할 수 있겠죠?^^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였습니다. 그냥 한 두 개체 피지 않았을까 했는데. 여기저기 꽃을 피운 녀석들이 많습니다. 그동안 날씨가 포근했나 봅니다. 저 곳에도 어제 눈이 내렸을텐데. 아마도 입을 꼭 다물고 한 동안 침잠의 시간을 갖겠지요. 가녀린 허리를 가졌지만. 강해보이지 않나요?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피어난 모습이 당당해 보입니다. 지난해 같은 .. 2009. 3. 4. 춘설 내린 무주 적상산 3월에 내리는 눈치고는 만만치 않은 양입니다. 간밤에는 비가 내리더니 눈으로 바뀐 것이죠. 춘설이라 빠르게 녹아 흐릅니다. 조금만 더 내린 다음에 사진 찍어야지. 했더니 순식간에 녹아 흐릅니다. 내리는 양보다 녹아 흐르는 양이 더 많은 것이죠. 가장 먼저 도룡뇽 연못을 찾았습니다. 녀석들 모습이 궁금해서요. 물이 얼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희미하게 도룡뇽 알만 보일 정도로. 녀석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알을 낳았으니 제 할 일이 끝난 것은 맞는데. 관리는 안하나?^^ 눈에는 건설과 습설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마른 눈과 젖은 눈이죠. 춘설은 대부분 습설입니다. 물기가 많아 빨리 녹기도 하지만. 잘 뭉쳐지기도 합니다. 이런 눈으로 한대 맞으면? 갑니다.^^ 펜션 뒤 관광 안내센터입니다. 한 달 예정.. 2009. 3. 3. 얼레지 꼬리를 밟다. 얼레지는 지금 꽃을 피우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 안간힘을 쓰는 중입니다. 겨우내 얼었던 땅에서 뿌리를 내리고 이맘때면 새순이 돋아납니다. 아직 이르다는 것을 알면서 혹 흔적이라도 만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 얼레지네 집을 찾았습니다. 당연히 꽃은 피지 않았지만. 얼레지 꼬리는 밟고 왔습니다.^^ 얼레지의 꽃말은 '바람난 여인'입니다. 20여 년 전 남설악 점봉산에서 얼레지를 처음 본 후 꽃말이 왜 '바람난 여인'일까 궁금했습니다. 고고한 자태와 다소곳한 몸가짐, 때론 화려한 자태를 뽐내기도 하는 모습은 영락없는 왕비의 포스를 닮았는데 말입니다. 바로 이런 모습이죠. 아. 이 녀석은 지난해 담은 사진입니다. 20여 년 전 처음으로 만났던 얼레지 군락이 떠오릅니다. 드넓은 산자락에 쫙 깔린 얼레지 밭이었습니다.. 2009. 3. 3. 이전 1 ··· 305 306 307 308 309 310 311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