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눌산의 뜬금없는 여행1257

바람 만난 얼레지, 바람난 눌산 올들어 얼레지만 벌써 다섯번 째 포스팅이다. 아직 멀었다. 올해는 얼레지를 실컷 볼란다. 원없이 볼란다. 바람부는 날은 산으로 간다. 얼레지 만나러. 얼레지의 꽃말은 '바람난 여인'이다. 눌산이 붙여 준 꽃말은 '바람 만난 여인'이다. 바람을 좋아하는 얼레지나, 역시 바람을 쫒는 눌산이나... 강원도 인제에 살때는 얼레지를 뜯어다 나물로 먹고, 국을 끓여서 멋었다. 꽃과 잎 모두 먹었다. 한자루 가득 뜯어 어깨에 둘러메면 무게가 꽤 나간다. 줄기를 잡아 당기면 뽕 소리가 나면서 뿌리는 그대로 있고, 줄기 부분만 빠진다. 그래서 동네 할머니들은 뽕나물이라고도 부른다. 강원도 생활 이후 얼레지를 먹기위해 뜯지 않았다. 먹는 것 보다 보는 것이 더 배부르니까. 얼레지는 뿌리를 건들지 않기 때문에 다음해에 또 .. 2012. 4. 8.
붉은대극 지난 3월 20일에 전북 완주 인근에서 우연히 만났던 붉은대극 꽃이 피었다. 딱 보름만이다. 빨간 막대기를 꼿아 놓은 듯한 새순이 인상적이었던 기억에 다시 찾아보았다. 붉은대극 새순 -> http://www.nulsan.net/1506 겉을 둘러싸고 있던 붉은 잎을 하나씩 벗어내며 연한 녹색의 꽃이 핀다. 붉은색이 강렬했던 새순은 더 연하게 변했다. 뿌리를 약재로 쓴다고 한다. 그래서 요즘은 찾아보기 힘들다. 다 캐가서 말이다. 아주 옛날에는 어땠을까. 옛 사람들은 무차별적인 채취는 하지 않았다. 딱 필요한 만큼만 채취해 썼다. 산나물도 마찬가지다. 떼거지로 몰려다니면서 싹쓸이 해버리는 요즘과는 달랐다. 저 붉은대극도 언제 수난을 당할지 모른다. 어느날 갑자기 싹 사라져 버릴지도 모른다. 약초든 꽃이든 .. 2012. 4. 7.
애기괭이눈 고양이 눈을 닮았다해서 괭이눈이라 부르는 녀석들. "고양이가 햇살 좋은 날 눈을 지그시 감고있는 모습과 같다." "작은 꽃송이와 안쪽에 있는 작은 수술의 모양이 마치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고양이의 눈을 닮았다." 등 괭이눈의 유래에 대한 설은 많지만, 분면한 것은 고양이 눈과 관련 있는 것 같다. 괭이눈은 애기괭이눈, 흰털괭이눈, 누른괭이눈, 선괭이눈, 금괭이눈, 가지괭이눈, 산괭이눈 등 종류도 무지 많다. 그중 애기괭이눈은 아주 작다. 촉촉한 계곡가 이끼가 붙은 바위에 자란다. 적상산 중턱 계곡에 막 피기 시작했다. 직접보면 더작다. 적상산 계곡의 봄은 멀었다. 애기괭이눈을 시작으로 너도바람꽃, 꿩의바람꽃, 중의무릇, 괭이밥, 피나물이 피어나는 이 계곡은 눌산 전용 놀이터다. 2012. 4. 7.
야옹이는 일광욕 중 창문을 활짝 열고 아침햇살을 온몸으로 받는 맛, 산골에 사는 특권이죠. 야옹이도 느낄 권리가 있습니다.^^ 창문을 열었더니 냉큼 들어옵니다. 눈치도 안보고, 허락도 없이. 들어오자마자 저러고 앉아 있네요. 등이 따뜻한가 봅니다. 슬슬 눈치 한번 보고는 맘껏 늘어집니다. 아~ 여기가 천국이구나~하는, 그런 표정으로. 빛과 그림자. 사진을 안 찍을 수 없는 아침빛입니다. 누구나 즐길 권리가 있단다. 사랑방이니까. 자라! 난 청소한다.^^ 2012. 4. 6.
지리산에 흙집 짓고 된장 만드는 총각 구정제 [산이 좋아 산에 사네] 지리산에 흙집 짓고 된장 만드는 총각, 구정제 우수가 지나면서 추위가 한풀 꺾이었다. 스마트폰 하나면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날씨 검색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지만, 농사를 짓거나 산골에 사는 사람들은 여전히 절기에 의존하며 산다. 어쩜 그렇게 딱딱 들어 맞는지... 절기는 옛 사람들에게 있어 스마트폰이요, 일년 농사의 지표가 되는 셈이다. 꽁꽁 얼어 있던 계곡에서는 물소리가 요란하고, 앙상한 나뭇가지에서는 새순이 돋고 있다. 콘크리트 바닥처럼 딱딱하게 얼었던 땅 속에서는 웅성거리는 생명의 소리가 느껴진다. 만화가 출신 총각이 지리산으로 간 까닭은? 필자는 이맘때가 되면 어김없이 지리산으로 향한다. 지리산은 섬진강을 끼고 있어 봄이 가장 빨리 오는 곳 중 하나이다. 매화와 산수.. 2012. 4. 6.
노루귀 어제, 무주에서 노루귀를 처음 만났습니다. 덕유산이나 적상산 자락에서 왠만한 야생화는 다 봤는데, 이 노루귀는 어디 숨었는지 당최 보기 힘들었거든요. 이름없는 작은 골짜기, 이제 그곳을 노루귀골이라 부르겠습니다. 오래전 사람이 살았던 골짜기 전체에 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청노루귀입니다. 분홍 노루귀는 지고 있네요. 작고 앙증맞은 꽃입니다. 사진찍기 좋게 고목에 이끼가 붙어 있습니다. 아무도 다녀가지 않은 원시의 숲에서 이런 노루귀를 만난다는 것은 행운입니다. 대부분 소문난 군락지들이라 밟고 꺾인 야생화들을 만나는 일은 고통이거든요. 늘 하는 얘기지만, 이런 야생화들은 만나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낙엽더미 속에 숨은 녀석들을 찾아다니는 재미 말입니다. 좋은 사진보다는, 보고 느낍니다. 매마른 대지에.. 2012. 4. 6.
얼레지 얼레지를 처음 만났던 그날도 바람이 불었다. 여인의 치맛자락같은 꽃잎은 골짜기를 온통 보랏빛으로 물들렸다. 그곳이 바로 '천상의 화원' 곰배령이다. 하늘 아래 세상은 아니었다. 그래서 천상의 화원이라 이름 붙였다. 그렇게 얼레지를 처음 만난게 20여 년 전의 일이다. 얼레지는 바람을 만나야 제맛이다. 가는 대궁은 여지없이 흔들린다. 무더기로 피어나는 얼레지는 바람과 함께 춤을 춘다. 파인더로 보는 것보다, 눈으로 먼저 봐야한다. 눈으로 보고 가슴으로 느껴야 얼레지를 알 수 있다. '바람난 여인'이라는 얼레지의 꽃말은, 그래서 붙여진게 아닐까. 바람 만난 얼레지. 우연의 일치일까. 바람이 심한 이 계절에 피는 꽃들은 대부분 바람과 연관이 있다. 얼레지의 꽃말이 '바람난 여인'이고, 너도바람꽃, 꿩의바람꽃,.. 2012. 4. 5.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은 순백의 꽃잎을 활짝 펼친 모양이 꿩의 발자국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꿩의 다리처럼 가늘고 긴 다리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바람꽃 종류가 워낙 많다보니 정확한 순서는 아니지만, 다른 바람꽃에 비해 비교적 빨리 꽃을 피웁니다. 더구나 순백의 하얀 꽃잎은 매마른 낙엽 속에서 단연 돋보입니다. 서 있기도 힘들만큼 강풍이 부는 날 꿩의바람꽃을 만나러갔습니다. 바람, 무섭습니다. 컨테이너도 날아갈 정도니까요. 하지만 가는 대궁의 저 여린 녀석은 끄떡 없습니다. 학명은 Anemone Raddeana Regal로 여기서 Anemone는 그리스어로 '바람의 딸'을 의미합니다. 꽃말은 '덧없는 사랑' '금지된 사랑' '사랑의 괴로움'으로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했습니다. 꽃의 여신 플로라에게 아.. 2012. 4. 5.
따뜻한 봄날 걷기 좋은 길, 섬진강 옛길 누룩실재 섬진강 매화는 이제 한창인데, 축제는 끝났다네요. 지랄같은 봄날씹니다. 그래도 이 계절에 화사한 꽃잔치를 볼 수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간만에 오랜 여행친구따라 섬진강 옛길을 넘었습니다. 독립군으로 활동한지 꽤돼서 그런지 뒤따라 걷는 일도 괜찮더군요. 맘 맞는 친구 있으면 1년 열두 달 걷기만 해도 좋겠지요. 섬진강 강마을 유곡마을에서 구례 장보러 다니던 옛길, 누룩실재를 다녀왔습니다. 구례읍 사동마을에서 시작합니다. 백련사가 들목입니다. 재너머 유곡마을은 다무락마을이라 불립니다. 다무락은 전라도 사투리로 돌담을 얘기하는데요, 사실 돌담은 대부분 사라지고 콘크리트 담장이 더 많습니다. 하지만 사동마을에는 옛스러운 돌담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돌담과 대나무숲, 산수유꽃이 어우러진 고샅이.. 2012. 4.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