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충청북도 영동] 영동 포도축제와 난계국악축제 이모저모 어제부터 열리고 있습니다. 사진만 올립니다. 영동 난계국악축제 http://www.nanmf.org/main/main.asp 영동 포도축제 (2010. 9. 3-9.7) http://www.ydpodo.co.kr/2010/ 공연과 다양한 체험, 너무 많습니다. 종일 돌아다녀도 다 못 볼 만큼요. 밥 안 먹고 가도, 시식코너만 돌아도 배가 부릅니다. 2010. 9. 4.
섬진강 기행 - 마을숲과 토담이 아름다운 반송마을 최고집 속설 남긴 면양 최양선생의 자취가 서린 반송마을 데미샘을 떠난 섬진강은 원신암마을을 지나 반송마을로 접어듭니다. 졸졸 흐르던 시냇물은 어느새 강폭을 넓혀 미역을 감아도 좋을 만큼 수량이 넘쳐 흐릅니다. 비 온 뒤라 물빛은 탁하지만 물소리 만큼은 맑습니다. 반송마을에는 쉬어가기 좋은 마을 숲이 있습니다. 두꺼비 손등 같은 수 백 년 된 느티나무둥치가 마을의 역사를 짐작케 합니다. 물가 마을이라 홍수에 대비한 숲으로 아름드리 나무숲 뒤로는 섬진강이 흐릅니다. 마을숲 옆에는 면양 최양 선생의 유허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여러 차례 불렀으나 충신은 불사이군이라며 굽히지 않은 지조로 최고집이라는 속설을 남긴 최양 선생은 반송마을에서 가까운 진안 팔공산에서 3년 간 운둔 생활을 했다고 전해져 옵.. 2010. 9. 4.
섬진강 기행 - 물의 시원 데미샘을 찾아서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을 찾아서 전라북도 진안 데미샘에서 전라남도 광양 망덕포구까지 섬진강 오백 리 여정을 따라간다. 시작은 강의 시원 데미샘이다. 태풍 곰파스가 몰려오고 있다는 소식에 망서렸지만 일정은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무지막지한 강풍을 동반한 폭우가 내린다는 뉴스가 공포스럽다. 하지만 우리는 하늘을 믿는다. 데미샘이 있는 원신암 마을에서 비포장 산길을 오르면 데미샘 주차장이다. 몇 년 만에 왔더니 많이 변했다. 없던 주차장이 생기고 휴양림도 들어서 있다. 등산화 끈을 조여 맨다. 언제나 그랬 듯, 데미샘 가는 길에는 비장한 마음의 각오를 다진다. 전에는 팔선정에서 곧바로 숲길로 접어 들었지만 휴양림이 들어서면서 진입로가 바뀌었다. 사진의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올라가다 등산로로 이어진다. 또아리.. 2010. 9. 3.
똥 누고 밑 안 닦고 일어서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이맘때면 뉴스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기사가 있다. 바로 행락객 쓰레기 문제. 그럴때면 해운대 해수욕장이 단골로 등장한다. 이유는 모른다. 아마도 가장 많은 안파가 몰리기 때문일게다. 버리는 자와 치우는 자의 전쟁이다. 월드컵 응원이 끝난 후 서울광장은 말끔한데, 왜 해수욕장은 쓰레기장이 될까. 똑같은 사람들인데 말이다.묘한 심리가 아닐 수 없다. 치우는 사람이 있으면 따라서 치운다. 하지만 보는 사람이 없으면 그 자리에 버린다. 등산로에 쓰레기를 꼭꼭 숨겨 놓듯이 말이다. 그냥 버리자니 눈치가 보이고, 그래서 쓰레기를 숨긴다. 지난 일요일 운일암반일암 계곡 (위 사진은 이 글의 주제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법은 지키라고 있다. 하지만 이 나라는 지도자들이 먼저 법을 어긴다. 문제는 법을 어기고도 죄의식.. 2010. 8. 31.
늦여름에 피는 꽃 비 개인 하늘빛이 오묘하다. 산책을 하다 꽃을 담았다. 꽃이 보인다. 꽃이 보인다는 것은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는 뜻이다. 몸은 아직 무겁다. 손가락도 무겁다. 글쓰기가 쉽지 않다. 달개비 또는 닭의장풀 금방이라도 날아갈 것 같은. 이름모름 벌개미취 언제나 봄날. 싸리꽃 갈퀴나물 이질풀 이름모름 익모초 언제나 봄날 주변에서 담았다. 내 눈에는 여전히 꽃밭이다. 구석구석 숨겨진 꽃들로 가득하다. 눈을 크게 뜨고 찬찬히 살피며 걷다보면 꽃이 보인다. 2010. 8. 30.
[이색지대] 무주 머루와인동굴 무주 적상산 입니다. 지난해 6월에 문을 연 '머루와인 동굴'에는 무주의 대표적인 특산품이라 할 수 있는 머루와인을 저장, 숙성, 판매, 시음하는 곳입니다. 연중 13-17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동굴 안으로 들어가면 한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도 추위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쾌척한 기운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머루와인 동굴'은 본래 양수발전소 작업터널로 활용하기 위해 1988년 착공하여 1995년 준공된 양수발전소 부대시설입니다. 총연장 579미터 중 270미터를 개방하고 있습니다. 동굴 맨 끝에 있는 시음대입니다. 무주에서 생산되는 머루와인 5종의 맛을 볼 수 있습니다. '붉은치마산'이라는 뜻의 무주 적상산(赤裳山)은 보물이 가득한 산입니다. 천년 고찰 안국사와 해발 900미터 산꼭대기에 자리한 .. 2010. 8.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