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싸움 대회에서 만난 영화배우 김윤석 완주 소싸움 대회에서 영화 '거북이 달린다' 촬영을 하더군요. 설정이 아닌 실제 소싸움이 영화의 한부분이나 봅니다. '추격자'의 배우 김윤석입니다. 언제나 주요 개봉 영화를 섭렵 했는데, 산중에 들어 온 후 극장 한번 가보지 못했습니다. 요즘 개봉 영화가 뭔지도 모를 정도니,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으로 할 말이 없군요. 정경호와 김윤석 주연의 영화 '거북이 달린다'는 추적자를 연상케 합니다. 어수룩한 충청도 형사(김윤석)와 탈주범(정경호)의 대결이 주요 내용이라고 합니다. 소싸움 도중 농악대가 등장합니다. 이 또한 영화의 한 부분입니다. 소싸움은 계속 됩니다. 소싸움의 특징은 우주(牛主)와의 호흡이 잘 맞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주인의 말을 알아 듣고 싸우는 모습을 종종보게 됩니다. 준결승전이라 그런지.. 2008. 10. 1. 느즈막히 나오는 영동 머루포도의 황홀한 맛 영동하면 포도가 생각 날 만큼 '영동 포도'가 유명합니다. 그 영동에서도 학산면은 포도의 산지라고 할 수 있는 곳입니다. 무주와 영동은 행정상으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로 나뉘지만, 앞치(前峙)라는 고개 하나를 사이에 둔 옆 동네나 다름없는 곳입니다. 하지만 지역의 차이인지 별 교류가 없어 보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형지세의 차이입니다. 산세가 험하고 협착한 골짜기가 많은 무주에 비해 앞치를 넘어서 영동 땅에 들어서면 먼저 너른 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좌다 포도밭으로 변한 영동의 들녘은 금강의 풍부한 물도 한 몪 했을 겁니다. 맛 좋기로 소문난 영동 학산포도 실컷 먹고 왔습니다. 저희집은 숙박 손님 외에도 찾아오는 손님이 많습니다. 손님도 집주인과 닮아가는 것 같습니다. 뭐랄까, 비슷한 성향의 사람.. 2008. 9. 30. 몸서리치도록 그리운 가을 가을병을 앓았습니다. 금단 현상 같은. 잠시도 앉아 있을 수도 없고, 생각이 멈추지도 않고,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지독한 병입니다. 가을병의 증상 중 하나는 추위에 약해진다는 것입니다. 특별히 더위나 추위를 타지 않는 건강한 몸이라고 자신하며 살아왔지만 유독 가을만 되면 추위를 탑니다. 오히려 겨울은 견딜 만 합니다. 남도로 내려 온 이유 중 하나도 그 추위 때문입니다. 추워서 남도가 그리웠습니다. 따뜻한 남쪽나라 말입니다. '언제나 봄날'이기를 바라는 마음 같은게 있었고, 펜션 이름도 그렇게 붙였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요, 올 가을은 느낌이 없습니다. 지금 상태로 봐서는 무난히 가을을 날 것 같습니다. 예방접종을 맞지도 않았는데. 아무튼 좋은 현상이죠. 그 가을병 떄문에 길에서 보낸 날이 얼마인지.. 2008. 9. 29. 소(牛)들의 전쟁 - 완주 소싸움 대회 소들도 할 말이 많겠죠. 말은 할 수 없지만. 말하고 싶은 소들의 몸부림은 느낄 수 있습니다. 제5회 완주 소싸움 대회를 다녀왔습니다. 소도 기뻐 할 줄 알고, 화가 나면 몸으로 표현을 합니다. 승부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는 녀석도 있고, 자신없으면 36계 줄행랑을 치죠. 일단 상대와의 기싸움이 시작됩니다. 슬쩍 머리를 맞대고 상대의 힘을 느껴보는 것이죠. 만만하면 사정없이 머리를 부딛치거나 뿔싸움이 시작됩니다. 뿔치기라고 하죠. 이외에도 소싸움 기술은 여러가지입니다. 밀치기, 뿔걸이, 머리치기, 목치기, 들치기, 옆치기, 연타 등. 소도 눈물을 흘린다고 합니다. 표현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표현하죠. 해설을 곁들인 소싸움의 묘미에 한번 빠지면 도박이나 다름없다고 하는군요. 완주 소싸움 대회는 봉동 마.. 2008. 9. 28. 파란 하늘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적응이 힘듭니다. 무더웠던 여름이 엊그제 같은데. 어젠 폴라 자켓을 걸칠 만큼 아침 기온이 뚝 떨어졌습니다. 비 온 뒤 이런 멋진 하늘빛을 보여주는군요. 눈이 부실 만큼 파란 하늘이었습니다. 오랜만에 이불 빨래를 했습니다. 볕이 좋으니까 잘 마릅니다. 하지만 이런 날씨에 빨래나 하고 있다는 건, 가을에 대한 실례죠.^^ 느린 걸음으로 다가 오는 가을이 보입니다. 적상산의 붉은 벼랑에서 부터. 2008. 9. 28. 뒷집 어르신이 가져오신 홍시 다섯 개 저희 집에 와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펜션 바로 뒤에 아주 오래된 구옥 한 채가 있습니다. 그 집에 사시는 어르신 말씀으로는 당신의 할아버지 때 지은 집이라고 합니다. 토담집이죠. 짚을 섞은 흙과 돌로 벽을 쌓고 나무 기둥을 세운, 전형적인 토담집입니다. 사방으로 두룬 돌담이 얼마나 예쁜지 오가는 사람들 마다 한마디씩 하고 지나갑니다. "저런 집에서 살고 싶다." "저런 집에 살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그 집에 사는 어르신은 많이 불편하다고 합니다. 비오면 빗물에 흙이 쓸리지 않을까 한시도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오래된 집이니까요. 어르신의 집입니다. 펜션 건물이 너무 거대해서 상대적으로 비좁아 보이지만, 구석구석 어르신의 손떼가 묻은 집은 나름대로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비에 쓸린 토담은 .. 2008. 9. 24. 이전 1 ··· 325 326 327 328 329 330 331 ··· 38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