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산을 닮은 호수 '용담댐'의 숨은 명소들 용담댐은 우리나라 4대 강 중 하나인 금강 상류에 지난 2001년 10월에 완공한 다목적댐으로 홍수 조절과 수력발전, 전주-익산-군산-김제 등 전라북도의 큰 도시와 서해안 지역의 산업시설에 연간 4억 9200만 톤의 물을 공급하는 전라북도의 핵심적 물 공급원 역할을 하고 있다. 펜션의 주말은 바쁩니다. 하지만 남들 다 쉬는 일요일은 저도 쉬는 날이죠. 용담댐 부근에 궁전 같은 집을 짓고 사는 친구가 있어 드라이브 삼아 다녀왔습니다. 덕분에 용담댐의 숨은 명소들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용담호에 가을빛이 가득합니다. 가물어서 인지 수량은 적지만, 높고 낮은 산자락 사이 사이에 담긴 호수의 그윽한 풍경이 발길을 붙잡습니다. 용담(龍潭)은 '용이 사는 연못'이라는 뜻으로, 댐이 완공되어 담수가 되면서 수몰된 지.. 2008. 9. 24. 머루축제의 주인공은 머루가 아니었다. 제3회 무주 머루축제가 지난 20일 펜션 언제나 봄날 주변에서 열렸습니다. 대한민국은 축제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철마다 열리는 전국 지자체 주관의 축제만 해도 수백개는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축제의 본질을 살리지 못하다 보니 대부분의 축제장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축제는 계속됩니다. 이러는 이유가 뭘까요? 누구를 위한 잔치인지 한번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아침부터 음악 소리로 요란합니다. 뽕짝소리요, 축제의 분위기를 돋구는 작업 중입니다. 워낙 조용한 마을이다보니 신경이 여간 거슬린게 아닙니다. 싫다는 게 아니라 굳이 저런 작업이 필요한가 입니다. 문제는, 그렇다고 분위기가 업되느냐죠. 아닙니다. 사진에서 보듯 행사장은 썰렁합니다. 행사 시작 10분 전인.. 2008. 9. 23. 천지사방을 물들인 북천 코스모스 들판 북천은 바다였다. 코스모스와 메밀꽃의 바다. 축제란 이름을 굳이 붙이지 않아도 흥을 돋구는 데는 문제가 없다. 북천면의 관문 북천 코스모스역에 발을 내딛는 순간, 여기저기서 탄성이 터져 나온다. 그 넓은 들판 모두가 붉은 코스모스와 메밀꽃으로 뒤덮여 있으니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가을을 만나러 가는 길입니다. 먼 길 달려 굳이 북천을 찾아 간 것은 한 장의 사진때문입니다. 전국의 코스모스로 유명하다는 데는 죄다 가봤지만 북천의 코스모스밭은 그 규모가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양도 양이지만, 무엇보다도 매력적인 것은 기차역이 있다는 것이죠. '코스모스 피어 있는 정든 고~향~역~~' 노래 실력은 없지만 북천역에 내려서는 순간 콧노래가 절로 나옵니다. 참 오래된 노래 같은데 북천역에 딱 어울리는 노래군요. 가.. 2008. 9. 20. 가을 여심(旅心) 붙잡는 간이역 '북천 코스모스'역 경전선 간이역 북천역에 기차가 멈춰 서 있다. 경상남도 하동의 간이역 북천역을 중심으로 31ha에 이르는 광활한 들판에 코스모스와 메밀꽃 천지가 펼쳐져 있습니다. 가을의 상징 코스모스와 간이역, 너무나 잘 어울리는 한 쌍입니다. 경부선의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과 호남선의 광주광역시 송정리역을 잇는 경전선(慶全線)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글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총 300.6km의 경전선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유일한 철도망이지만 개통 이후 개량이 거의 이뤄 지지 않아 수요가 적은 편이었습니다. 하지만 코스모스역으로 역명까지 개명하며 새롭게 탈바꿈한 북천역 덕분에 가을이면 여행자들로 가득합니다. 북천 코스모스 역에 내려서는 순간, 여행자들의 탄성이 곳곳에서 들려옵니다.. 2008. 9. 19. 가을이 보이나요? 펜션을 병풍 처럼 감싸고 있는 적상산에 가을이 오고 있습니다. 바위 주변 벚나무 부터 서서히 물들기 시작해서 온 산을 붉게 물들이겠지요. '붉은 치마' 폭에 둘러 싸인 펜션을 그려봅니다. 펜션 2층에서 바라 본 적상산입니다. 붉은 치마산이라고도 하죠. 앞으로 딱 한 달만 지나면 그리 되겠지요. 그 모습이 저도 궁금합니다. 펜션에 오시는 분들 마다 한번 쯤 찾아보는 520년 된 당산나무랍니다. 가을이 보이나요? 펜션으로 올라 오는 길에도 가을빛이 완연합니다. 황토빛과 잘 어울리는군요. 너무 붉으면 어지럽습니다. 딱 보기 좋을 만큼만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펜션 앞에서 열리는 머루축제를 알리는 애드벌룬이 걸렸습니다. 마을 입구에는 현수막도 붙었고요. 머루로 만든 음식과 마루주, 머루와인 맛도 볼 수 있을 것.. 2008. 9. 18. 뒷산에서 만난 봉선 씨 봉숭화과에 속하는 물봉선입니다. 물봉숭아라고도 하죠. 습한 골짜기나 냇가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꽃입니다. 너무 흔해서 그냥 지나치기 쉽상이죠. 오래 전에 멧돼지 촬영을 나갔다가 산에서 고립된 적이 있습니다. 일기예보와는 다르게 엄청난 폭우가 내려 계곡을 건널 수 없게 되었죠. 위장막 속에서 하룻밤을 자고 아침을 맞았을때 눈에 확 들어오는 꽃이 있었으니 바로 저 물봉선이었습니다. 그것도 노란 물봉선요. 배고픔과 추위, 고립으로 인한 두려움 속에서도 골짜기를 노랗게 물들인 꽃을 보고 살아 있음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안도의 한 숨 같은. 길가 습지에서 쉽게 만날 수 있지만 깊은 산골짜기 계곡가 같은 곳에서 만나면 더욱 빛이 납니다. 나물도 고산 나물이 맛이 좋듯이 고산에 자라는 꽃이 더 선명합니다. .. 2008. 9. 17. 이전 1 ··· 326 327 328 329 330 331 332 ··· 381 다음 728x90 반응형